대우조선해양이 선박 용접의 결함을 디지털기술로 판단하는 품질검사기술을 개발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선박과 해양플랜트의 용접부 품질을 평가하는 디지털방사선시험(RT) 검사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지금까지 조선업체에서는 선박과 해양플랜트를 건조하면서 용접부의 결함을 판단하기 위해 필름을 활용한 아날로그 방식의 방사선시험 검사기술을 사용해왔다.
필름을 사용하면 촬영범위가 좁아 한 구역의 용접부를 촬영하기 위해 여러 장의 필름을 사용해야 했고 장시간 반복 작업이 필요해 검사를 시행하는 직원이 방사선에 노출될 위험도 많았다.
대우조선해양은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듯이 장비만 설치하면 연속적으로 방사선 검사를 할 수 있는 기술을 새로 개발했다.
이번 기술의 현장적용을 위해 대우조선해양은 세계 메이저 5대 선급(ABS, BV, DNV, KR, LR)과 함께 현장 촬영부터 최종 승인까지 비대면 디지털로 진행이 가능한 시스템 개발 협약식(MOU)도 열었다.
대우조선해양은 이번 기술 개발로 작업자의 방사선 노출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용접 품질검사를 위한 시간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동규 대우조선해양 중앙연구원장 전무는 “이번에 개발한 최첨단 기술을 지속해서 현장에 적용해 안전하고 생산적 조선소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
대우조선해양은 선박과 해양플랜트의 용접부 품질을 평가하는 디지털방사선시험(RT) 검사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 이성근 대우조선해양 대표이사 사장.
지금까지 조선업체에서는 선박과 해양플랜트를 건조하면서 용접부의 결함을 판단하기 위해 필름을 활용한 아날로그 방식의 방사선시험 검사기술을 사용해왔다.
필름을 사용하면 촬영범위가 좁아 한 구역의 용접부를 촬영하기 위해 여러 장의 필름을 사용해야 했고 장시간 반복 작업이 필요해 검사를 시행하는 직원이 방사선에 노출될 위험도 많았다.
대우조선해양은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듯이 장비만 설치하면 연속적으로 방사선 검사를 할 수 있는 기술을 새로 개발했다.
이번 기술의 현장적용을 위해 대우조선해양은 세계 메이저 5대 선급(ABS, BV, DNV, KR, LR)과 함께 현장 촬영부터 최종 승인까지 비대면 디지털로 진행이 가능한 시스템 개발 협약식(MOU)도 열었다.
대우조선해양은 이번 기술 개발로 작업자의 방사선 노출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용접 품질검사를 위한 시간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동규 대우조선해양 중앙연구원장 전무는 “이번에 개발한 최첨단 기술을 지속해서 현장에 적용해 안전하고 생산적 조선소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