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모든 부문의 사업 호조에 힘입어 1분기에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카카오톡 광고와 전자상거래, 모빌리티와 간편결제, 웹툰과 웹소설 등에서 특히 호조를 보였다.
카카오는 2021년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2580억 원, 영업이익 1575억 원을 올렸다고 6일 밝혔다.
2020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이 45%, 영업이익이 79% 각각 증가했다.
부문별 매출을 살펴보면 플랫폼 부문 매출이 6688억 원으로 집계돼 2020년 1분기보다 51% 늘어났다.
플랫폼부문은 카카오톡 광고와 거래형 커머스(상거래)사업을 합친 톡비즈, 포털사이트 다음 등과 관련된 포털비즈, 모빌리티와 간편결제 등의 신사업부문으로 구성된다.
톡비즈 매출이 3615억 원으로 확인돼 2020년 1분기보다 61% 늘어났다. 포털비즈 매출은 1175억 원으로 집계돼 1% 증가했다.
신사업 매출이 1898억 원으로 나타나 89% 증가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택시 매출 확대, 카카오페이의 결제거래액·금융서비스 확대 등에 영향을 받았다.
다른 부문 매출을 보면 콘텐츠부문 매출이 5892억 원으로 집계돼 2020년 1분기보다 38% 늘어났다.
콘텐츠부문은 웹툰·웹소설 등의 유료콘텐츠, 게임, 음악, 지식재산(IP) 사업과 기타 등으로 구성됐다.
유료콘텐츠 매출이 1747억 원으로 확인돼 2020년 1분기보다 80% 늘어났다. 글로벌 거래액의 증가가 매출 호조로 이어졌다.
게임 매출은 1303억 원으로 집계돼 35% 증가했다. 음악 매출은 1568억 원으로 나타났는데 4% 늘어났다.
IP사업과 기타 매출이 1274억 원으로 집계됐는데 55% 늘어났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영상콘텐츠 매출이 늘어났고 음반 유통도 호조를 보였다.
카카오는 2월 ESG(환경,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 개편) 슬로건으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카카오의 약속과 책임’을 제시한 뒤 관련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5월 안에 카카오의 지속가능한 경영 노력과 향후 계획을 담은 ESG보고서를 내놓기로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
카카오톡 광고와 전자상거래, 모빌리티와 간편결제, 웹툰과 웹소설 등에서 특히 호조를 보였다.

▲ 여민수(왼쪽) 조수용 카카오 공동대표이사.
카카오는 2021년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2580억 원, 영업이익 1575억 원을 올렸다고 6일 밝혔다.
2020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이 45%, 영업이익이 79% 각각 증가했다.
부문별 매출을 살펴보면 플랫폼 부문 매출이 6688억 원으로 집계돼 2020년 1분기보다 51% 늘어났다.
플랫폼부문은 카카오톡 광고와 거래형 커머스(상거래)사업을 합친 톡비즈, 포털사이트 다음 등과 관련된 포털비즈, 모빌리티와 간편결제 등의 신사업부문으로 구성된다.
톡비즈 매출이 3615억 원으로 확인돼 2020년 1분기보다 61% 늘어났다. 포털비즈 매출은 1175억 원으로 집계돼 1% 증가했다.
신사업 매출이 1898억 원으로 나타나 89% 증가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택시 매출 확대, 카카오페이의 결제거래액·금융서비스 확대 등에 영향을 받았다.
다른 부문 매출을 보면 콘텐츠부문 매출이 5892억 원으로 집계돼 2020년 1분기보다 38% 늘어났다.
콘텐츠부문은 웹툰·웹소설 등의 유료콘텐츠, 게임, 음악, 지식재산(IP) 사업과 기타 등으로 구성됐다.
유료콘텐츠 매출이 1747억 원으로 확인돼 2020년 1분기보다 80% 늘어났다. 글로벌 거래액의 증가가 매출 호조로 이어졌다.
게임 매출은 1303억 원으로 집계돼 35% 증가했다. 음악 매출은 1568억 원으로 나타났는데 4% 늘어났다.
IP사업과 기타 매출이 1274억 원으로 집계됐는데 55% 늘어났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영상콘텐츠 매출이 늘어났고 음반 유통도 호조를 보였다.
카카오는 2월 ESG(환경,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 개편) 슬로건으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카카오의 약속과 책임’을 제시한 뒤 관련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5월 안에 카카오의 지속가능한 경영 노력과 향후 계획을 담은 ESG보고서를 내놓기로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