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경산업 주식 매수의견이 유지됐다.
애경산업은 코로나19 영향의 감소로 화장품부문의 매출이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됐다.
정혜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6일 애경산업 목표주가를 2만6천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5일 애경산업 주가는 2만245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정 연구원은 “애경산업은 3분기 생활용품부문의 견조한 실적흐름과 더불어 화장품부문의 수출 확대로 3분기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냈다”며 “중국에서 애경산업 제품의 수요가 많다는 점이 확인된 만큼 코로나19가 안정화되면 실적이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고 예상했다.
애경산업은 3분기 화장품부문의 매출이 2019년 3분기보다 37% 감소했다.
면세점 채널은 85% 역성장했고 홈쇼핑 채널은 색조제품의 수요 둔화와 장마에 따른 비수 효과가 더해지면서 매출이 55%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하지만 중국 티몰 역직구를 포함한 수출 채널의 매출은 3% 늘었했다. 11월11일 광군제 관련 물량이 증가한 것도 매출 확대에 일부 기여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중국에서 애경산업의 제품 수요가 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해석된다.
생활용품부문은 위생용품 매출에 3분기 선물세트 판 효과까지 더해져 매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애경산업은 생활용품도 중국 티몰 플래그십 스토어에 진출해 향후 실적 증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정 연구원은 “코로나19로 중국 인바운드(외국인의 국내여행) 급감과 색조제품의 수요 부진이 지속되고 있어 화장품부문의 실적 회복은 다소 지연될 수 있다”며 “하지만 애경산업은 밸류에이션(기업의 적정가치) 부담도 높지 않은 편이고 색조제품의 수요 회복과 함께 실적과 주가 흐름 모두 우상향할 수 있을 것이다”고 분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
애경산업은 코로나19 영향의 감소로 화장품부문의 매출이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됐다.

▲ 임재영 애경산업 대표이사.
정혜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6일 애경산업 목표주가를 2만6천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5일 애경산업 주가는 2만245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정 연구원은 “애경산업은 3분기 생활용품부문의 견조한 실적흐름과 더불어 화장품부문의 수출 확대로 3분기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냈다”며 “중국에서 애경산업 제품의 수요가 많다는 점이 확인된 만큼 코로나19가 안정화되면 실적이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고 예상했다.
애경산업은 3분기 화장품부문의 매출이 2019년 3분기보다 37% 감소했다.
면세점 채널은 85% 역성장했고 홈쇼핑 채널은 색조제품의 수요 둔화와 장마에 따른 비수 효과가 더해지면서 매출이 55%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하지만 중국 티몰 역직구를 포함한 수출 채널의 매출은 3% 늘었했다. 11월11일 광군제 관련 물량이 증가한 것도 매출 확대에 일부 기여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중국에서 애경산업의 제품 수요가 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해석된다.
생활용품부문은 위생용품 매출에 3분기 선물세트 판 효과까지 더해져 매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애경산업은 생활용품도 중국 티몰 플래그십 스토어에 진출해 향후 실적 증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정 연구원은 “코로나19로 중국 인바운드(외국인의 국내여행) 급감과 색조제품의 수요 부진이 지속되고 있어 화장품부문의 실적 회복은 다소 지연될 수 있다”며 “하지만 애경산업은 밸류에이션(기업의 적정가치) 부담도 높지 않은 편이고 색조제품의 수요 회복과 함께 실적과 주가 흐름 모두 우상향할 수 있을 것이다”고 분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