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유지됐다.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경기위축 우려와 정부 부동산대책으로 아파트 매수흐름이 줄고 매수자들이 시장을 관망하는 태도가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감정원이 10일 발표한 '2020년 9월1주(9월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1%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주와 같았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6월2주 10주 만에 오른 뒤 13주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감정원은 "7.10 부동산대책 및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경기위축 우려 등으로 매수세가 줄고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다만 일부 저평가된 아파트 단지와 개발호재를 지닌 지역은 가격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서울 강북 14개구의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1%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주 0.02%에서 0.01%포인트 축소됐다.
마포구(0.02%)는 도화동·마포동의 일부 중소형 아파트 위주로, 용산구(0.02%)는 도원동 등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가격이 상승했다. 동대문구(0.02%)는 장안동·이문동 대단지에서, 중랑구(0.02%)는 신내동·묵동에서 주로 가격이 높아졌다. 도봉구는 지난주와 아파트값이 같았다.
강남 11개구는 전주보다 아파트값이 0.01%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주 수준을 유지했다.
강남4구인 강남구(0.01%)는 일부 신축 아파트 위주로, 강동구(0.01%)는 9억 이하 아파트 위주로 가격이 올랐다. 반면 송파구와 서초구는 관망세가 이어지며 지난주와 아파트값이 동일했다.
영등포구(0.02%)는 일부 재건축 단지와 영등포동 위주로, 강서구(0.01%)는 마곡동·화곡동의 9억 이하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가격이 상승했다.
2020년 9월1주 전국 아파트값은 1주 전보다 0.08% 높아졌다. 상승폭은 지난주보다 0.02%포인트 줄었다.
수도권은 0.06% 올라 상승폭이 지난주보다 0.01%포인트 축소됐다. 지방은 0.12% 상승해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0.01%포인트 작아졌다.
시도별로 아파트 매매가격을 살펴보면 세종(0.47%), 대전(0.31%), 대구(0.18%), 울산(0.17%), 충남(0.13%), 부산(0.11%), 강원(0.11%), 경기(0.09%), 전북(0.07%) 등은 올랐다. 전남은 아파트값이 지난주와 같았고 충북(-0.01%)는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가운데 지난주와 비교해 아파트 가격이 오른 지역은 127곳에서 129곳으로 늘었다. 보합 지역은 20곳으로 지난주와 같았고 아파트값이 하락한 지역은 29곳에서 27곳으로 줄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상유 기자]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경기위축 우려와 정부 부동산대책으로 아파트 매수흐름이 줄고 매수자들이 시장을 관망하는 태도가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 서울 일대 아파트 모습.
한국감정원이 10일 발표한 '2020년 9월1주(9월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1%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주와 같았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6월2주 10주 만에 오른 뒤 13주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감정원은 "7.10 부동산대책 및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경기위축 우려 등으로 매수세가 줄고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다만 일부 저평가된 아파트 단지와 개발호재를 지닌 지역은 가격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서울 강북 14개구의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1%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주 0.02%에서 0.01%포인트 축소됐다.
마포구(0.02%)는 도화동·마포동의 일부 중소형 아파트 위주로, 용산구(0.02%)는 도원동 등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가격이 상승했다. 동대문구(0.02%)는 장안동·이문동 대단지에서, 중랑구(0.02%)는 신내동·묵동에서 주로 가격이 높아졌다. 도봉구는 지난주와 아파트값이 같았다.
강남 11개구는 전주보다 아파트값이 0.01%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주 수준을 유지했다.
강남4구인 강남구(0.01%)는 일부 신축 아파트 위주로, 강동구(0.01%)는 9억 이하 아파트 위주로 가격이 올랐다. 반면 송파구와 서초구는 관망세가 이어지며 지난주와 아파트값이 동일했다.
영등포구(0.02%)는 일부 재건축 단지와 영등포동 위주로, 강서구(0.01%)는 마곡동·화곡동의 9억 이하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가격이 상승했다.
2020년 9월1주 전국 아파트값은 1주 전보다 0.08% 높아졌다. 상승폭은 지난주보다 0.02%포인트 줄었다.
수도권은 0.06% 올라 상승폭이 지난주보다 0.01%포인트 축소됐다. 지방은 0.12% 상승해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0.01%포인트 작아졌다.
시도별로 아파트 매매가격을 살펴보면 세종(0.47%), 대전(0.31%), 대구(0.18%), 울산(0.17%), 충남(0.13%), 부산(0.11%), 강원(0.11%), 경기(0.09%), 전북(0.07%) 등은 올랐다. 전남은 아파트값이 지난주와 같았고 충북(-0.01%)는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가운데 지난주와 비교해 아파트 가격이 오른 지역은 127곳에서 129곳으로 늘었다. 보합 지역은 20곳으로 지난주와 같았고 아파트값이 하락한 지역은 29곳에서 27곳으로 줄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