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글로비스가 주요 고객사인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해외 판매량 증가에 힘입어 하반기부터 실적이 좋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양지환 대신증권 연구원은 22일 “하반기부터 코로나19로 움츠러들었던 소비심리가 회복되는 데 따라 완성차기업들의 판매량이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현대글로비스의 실적도 하반기부터 개선세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글로비스, 현대기아차 판매회복 힘입어 하반기부터 실적 좋아져

김정훈 현대글로비스 대표이사 사장.


현대글로비스는 하반기에 별도기준으로 영업이익 449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상반기에는 영업이익 3260억 원을 내는 데 그쳤다. 

특히 현대차가 제네시스 GV80과 G80 등 신차 덕분에 자동차 판매량이 급격하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양 연구원은 “과거 현대차와 기아차는 디자인 혁신으로 해외 판매량을 크게 늘렸던 적이 있다”며 “2020년 신형 제네시스 모델의 우수한 디자인을 놓고 봤을 때 현대차는 코로나19 뒤 글로벌 경기가 회복된다면 제2의 도약기를 맞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대차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디자인 측면에서 혁신을 강행하며 글로벌 완성차기업들 사이에서 두각을 나타낸 뒤 2009~2011년 세계 판매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는 “이때 현대차와 기아차는 물론 현대글로비스의 실적과 주가도 늘어났는데 이런 일이 또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바라봤다.

현대글로비스의 완성차 해상운송(PCC)사업부문 실적만 떼놓고 보면 2분기 저점을 찍은 뒤 하반기부터 좋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글로비스는 2분기에 별도기준으로 해상운송사업부문에서 매출 430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추정되는데 3분기와 4분기에는 이 부문에서 각각 매출 4880억 원, 527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완성차 해상운송사업부문 매출이 늘어나는 데 따라 현대글로비스의 전체 영업이익률도 덩달아 상승할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글로비스의 영업이익률은 2019년 4.2%에서 2020년 4.8%로 0.6%포인트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양 연구원은 이날 현대글로비스 목표주가 13만5천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그는 “2분기 실적을 둔 시장의 우려는 이미 주가에 반영되었다고 판단한다”며 “2분기를 저점으로 실적 개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직전 거래일인 19일 현대글로비스 주가는 10만7천 원에 장을 마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