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네이버는 개방형 플랫폼으로 변화하는 동시에 독립법인들의 기업가치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네이버 목표주가 상향, "주요 비즈니스 독립으로 기업가치 재평가"

▲ 한성숙 네이버 대표이사.


김동희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29일 네이버 목표주가를 기존 17만 원에서 19만 원으로 높여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네이버 주가는 28일 14만6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 연구원은 “네이버는 2019년 본격적 변신이 시작됐다”며 “개방형 플랫폼으로 변모와 금융서비스, 사내독립기업(CIC)들의 성장에도 주목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2018년 아폴로, 쇼핑, 밴드, 플레이스, 서치&클로바, 브이(V), 네이버페이 등 7개의 사내독립기업을 설립했다.

2017년에는 네이버웹툰, 2019년에는 네이버페이의 분사와 투자유치를 발표했다. 네이버페이는 11월1일자로 분사하는데 분사 후 미래에셋대우로부터 최소 5천억 원 이상의 투자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김 연구원은 이런 분사와 투자유치 전략에서 네이버가 폐쇄형에서 개방형 플랫폼으로 변화하고 성장하겠다는 의지를 확인했다고 봤다.

그는 “현재 고성장 중인 웹툰, V라이브, 플레이스 등 주요 비즈니스도 독립을 통한 가치 재평가가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네이버쇼핑의 영향력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김 연구원은 “2019년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상위사업자의 지배력은 더욱 강화되며 네이버쇼핑은 간편결제, 상품 다양성, 앱 편리성 등에 근거해 지속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9년 네이버페이 기준으로 네이버쇼핑 거래액은 15조7천억 원, 쇼핑이 기여하는 광고 매출은 8706억 원으로 전체 광고의 24.8% 비중으로 추정됐다. 김 연구원은 네이버쇼핑의 기업가치를 5조4천억 원으로 추산했다.

네이버페이는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거래액의 14%, 이용자의 30%를 점유하고 있다. 김 연구원은 네이버페이의 기업가치는 2조 원을 넘을 것으로 판단했다.

김 연구원은 “네이버의 주주가치 제고 노력도 긍정적”이라며 “2019년 적극적 주주 환원정책에 의지를 거듭 밝히고 있어 자기주식 소각과 같은 적극적 주주가치 제고정책도 가능하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