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아르헨티나의 소금호수(염호)에서 나오는 리튬을 획득할 수 있는 권리(광권)를 얻었다.
포스코는 27일 호주 퍼스에서 현지 자원 개발기업인 갤럭시리소스와 리튬 염호 광권의 매매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광권 인수 금액은 2억8천만 달러다.
포스코가 광권을 확보한 염호는 아르헨티나 북서부에 위치한 ‘옴브레무에르토’ 호수의 북쪽 부분이다. 규모는 서울시 면적의 3분의 1가량이다.
해당 염호는 20년 동안 해마다 2만5천 톤의 리튬을 생산할 수 있는 염수를 보유하고 있다고 포스코는 설명했다.
포스코는 “2월에 호주 필바라미네랄스에게서 연간 3만 톤의 리튬을 생산할 수 있는 리튬정광을 장기 구매하기로 한 데 이어 이번에 염호를 추가로 확보하면서 원료 수급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올해 안에 광권 인수를 마무리하는 대로 아르헨티나 염호에 리튬 공장을 건설할 수 있도록 인허가 단계를 밟기로 했다. 포스코가 보유한 리튬 직접 추출 기술을 적용해 2021년부터 리튬을 생산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로써 포스코는 2021년부터 해마다 5만5천 톤 규모의 리튬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
포스코는 아르헨티나 현지에서 생산되는 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을 양극재를 만드는 포스코DSM에 원료로 공급한다.
포스코그룹의 음극재 생산 계열사인 포스코켐텍과 함께 그룹의 2차전지 소재사업 경쟁력이 강화할 것으로 포스크는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
포스코는 27일 호주 퍼스에서 현지 자원 개발기업인 갤럭시리소스와 리튬 염호 광권의 매매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광권 인수 금액은 2억8천만 달러다.

▲ 아르헨티나 북서부에 위치한 소금호수 ‘옴브레무에르토’. <포스코>
포스코가 광권을 확보한 염호는 아르헨티나 북서부에 위치한 ‘옴브레무에르토’ 호수의 북쪽 부분이다. 규모는 서울시 면적의 3분의 1가량이다.
해당 염호는 20년 동안 해마다 2만5천 톤의 리튬을 생산할 수 있는 염수를 보유하고 있다고 포스코는 설명했다.
포스코는 “2월에 호주 필바라미네랄스에게서 연간 3만 톤의 리튬을 생산할 수 있는 리튬정광을 장기 구매하기로 한 데 이어 이번에 염호를 추가로 확보하면서 원료 수급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올해 안에 광권 인수를 마무리하는 대로 아르헨티나 염호에 리튬 공장을 건설할 수 있도록 인허가 단계를 밟기로 했다. 포스코가 보유한 리튬 직접 추출 기술을 적용해 2021년부터 리튬을 생산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로써 포스코는 2021년부터 해마다 5만5천 톤 규모의 리튬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
포스코는 아르헨티나 현지에서 생산되는 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을 양극재를 만드는 포스코DSM에 원료로 공급한다.
포스코그룹의 음극재 생산 계열사인 포스코켐텍과 함께 그룹의 2차전지 소재사업 경쟁력이 강화할 것으로 포스크는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