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대구 수돗물에 과불화화합물을 내보낸 사업장들을 확인하고 배출을 차단했다.
환경부는 22일 "낙동강 물줄기에서 검출된 과불화헥산술폰산(PFHxS)의 주 배출원을 전수조사한 결과 구미하수처리구역 사업장 3곳에서 해당 물질을 흘려보낸 사실을 확인하고 더 이상 배출하지 않도록 조치 완료했다"고 밝혔다.
과불화헥산술폰산은 과불화화합물의 하나다. 동물 실험에서 체중 감소와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 혈액 응고 시간 증가, 갑상선 호르몬 변화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된 물질이다.
조치 결과 구미하수처리장 방류수에서 과불화헥산술폰산은 5월 5.8㎍(마이크로그램, 100만분의 1그램)/L에서 6월20일 0.092㎍/L로 줄어들었다.
부산대 산학협력단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낙동강이 상수원인 대구 수돗물에서 과불화화합물 농도가 서울보다 5배가량 높게 나타나 논란이 됐다.
환경부는 5월29일 과불화헥산술폰산 등 과불화화합물을 수돗물 수질 감시항목으로 새로 지정했다.
기존에는 과불화헥산술폰산은 권고 기준으로만 관리되고 규제 기준이 적용되는 물질이 아니었다.
환경부는 이 물질을 주기적 모니터링을 한 뒤 그 결과에 따라 올해 7월부터 산업폐수 감시항목으로 지정하고 폐수 배출 허용 기준도 정하기로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주연 기자]
환경부는 22일 "낙동강 물줄기에서 검출된 과불화헥산술폰산(PFHxS)의 주 배출원을 전수조사한 결과 구미하수처리구역 사업장 3곳에서 해당 물질을 흘려보낸 사실을 확인하고 더 이상 배출하지 않도록 조치 완료했다"고 밝혔다.

▲ 대구광역시 달성군 매곡정수장 부근의 낙동강. <뉴시스>
과불화헥산술폰산은 과불화화합물의 하나다. 동물 실험에서 체중 감소와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 혈액 응고 시간 증가, 갑상선 호르몬 변화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된 물질이다.
조치 결과 구미하수처리장 방류수에서 과불화헥산술폰산은 5월 5.8㎍(마이크로그램, 100만분의 1그램)/L에서 6월20일 0.092㎍/L로 줄어들었다.
부산대 산학협력단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낙동강이 상수원인 대구 수돗물에서 과불화화합물 농도가 서울보다 5배가량 높게 나타나 논란이 됐다.
환경부는 5월29일 과불화헥산술폰산 등 과불화화합물을 수돗물 수질 감시항목으로 새로 지정했다.
기존에는 과불화헥산술폰산은 권고 기준으로만 관리되고 규제 기준이 적용되는 물질이 아니었다.
환경부는 이 물질을 주기적 모니터링을 한 뒤 그 결과에 따라 올해 7월부터 산업폐수 감시항목으로 지정하고 폐수 배출 허용 기준도 정하기로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주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