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3사가 데이터 이용량 증가 등 질적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양종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3일 “2월 국내 이동통신시장은 긍정적 추세가 이어지며 순항했다”라며 “4G 가입자들의 데이터 이용량이 증가했고 사물인터넷 위주의 질적 성장을 했다”라고 파악했다.
 
이통3사, 2월에도 데이터 이용량 증가로 질적 성장 이어가

▲ 박정호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장(왼쪽부터), 황창규 KT 대표이사 회장, 권영수 LG유플러스 대표이사 부회장.


2월 이통3사의 4G 가입자 당 데이터 이용량은 6.3GB로 지난해 2월보다 17.6% 늘어났다.

데이터 이용량 6.3GB는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기본 제공량 11GB)보다 한 단계 낮은 5만1천 원 요금제의 제공량 6.5GB 수준이다. 

2017년 4분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평균 요금이 3만4630원인 점을 고려하면 데이터 이용량의 증가는 데이터 추가 구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또 이통3사가 요금제를 현재보다 상향할 수 있는 근거로 작용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가입자도 늘고 있다.

이통3사의 사물인터넷 가입자는 2월 685만 명으로 집계됐다. 2017년 2월보다 22.7% 증가했고 보급률은 10.9%를 달성했다.

마케팅 경쟁은 완화됐다.

이통3사는 2월 155만 대의 단말기 판매했는데 1월보다 12.4% 감소했다. 1~2월 평균 단말기 판매량도 지난해 1~3월 평균보다 7.3% 줄었다.

이동통신 가입자들의 단말기 이용기간이 길어지고 있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단말기 판매량이 줄면서 이통3사가 마케팅에 사용하는 비용도 감소하고 있다.

양 연구원은 “이통3사는 가입자당 매출액(ARPU)이 높은 휴대폰 가입자의 비중도 증가하며 질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라며 “5G 주파수 경매가 시작되는 6월부터는 5G 성장성도 부각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