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LG전자가 지난해 미국 생활가전시장에서 나란히 점유율 1, 2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닛케이아시안리뷰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최근 수입산 세탁기에 내린 세이프가드(수입제한조치) 영향이 삼성전자와 LG전자에 크게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닛케이는 삼성전자와 LG전자의 미국 생활가전시장 점유율이 상승세를 보이며 영향력이 높아지고 있어 세이프가드로 경쟁력을 위협받을 가능성도 낮다고 봤다.
닛케이가 인용한 시장조사기관 트랙라인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미국 생활가전시장에서 19.5%의 점유율로 1위, LG전자는 15.7%로 2위를 각각 차지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 세탁기에 관세 부과를 요구한 미국 월풀의 점유율은 15.4%로 3위에 그쳤다.
2016년 미국에서 삼성전자 시장점유율은 19.6%를 보였고 LG전자 점유율은 월풀보다 낮은 16% 정도에 불과했는데 지난해 일제히 점유율이 상승하며 시장지배력이 높아졌다.
닛케이는 세탁기 관세 인상이 삼성전자와 LG전자 전체 실적에서 차지하는 실질적 비중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내놓았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
30일 닛케이아시안리뷰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최근 수입산 세탁기에 내린 세이프가드(수입제한조치) 영향이 삼성전자와 LG전자에 크게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 김현석 삼성전자 CE부문 사장(왼쪽)과 송대현 LG전자 H&A사업본부 사장.
닛케이는 삼성전자와 LG전자의 미국 생활가전시장 점유율이 상승세를 보이며 영향력이 높아지고 있어 세이프가드로 경쟁력을 위협받을 가능성도 낮다고 봤다.
닛케이가 인용한 시장조사기관 트랙라인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미국 생활가전시장에서 19.5%의 점유율로 1위, LG전자는 15.7%로 2위를 각각 차지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 세탁기에 관세 부과를 요구한 미국 월풀의 점유율은 15.4%로 3위에 그쳤다.
2016년 미국에서 삼성전자 시장점유율은 19.6%를 보였고 LG전자 점유율은 월풀보다 낮은 16% 정도에 불과했는데 지난해 일제히 점유율이 상승하며 시장지배력이 높아졌다.
닛케이는 세탁기 관세 인상이 삼성전자와 LG전자 전체 실적에서 차지하는 실질적 비중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내놓았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