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공공부문부터 주택 후분양제를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후분양제 로드맵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았다.

김 장관은 1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토부 국정감사에서 후분양제 필요성이 제기되자 전면적 실시에 조심스런 모습을 나타내면서도 단계적 도입 가능성을 내비췄다.
 
김현미 "국토부, 공공부문부터 주택 후분양제 단계적 도입"

▲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정동영 국민의당 의원은 국토부 부동산대책의 효과가 크지 않다며 근본적인 대책으로 참여정부에서 추진했던 후분양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김 장관은 후분양제의 장점에 공감하면서도 “전면적으로 도입하기에 한계가 있다”며 “기업과 소비자의 준비과정이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다만 김 장관은 “당장 올해부터는 아니지만 토지주택공사(LH)가 하는 공공분양은 단계적으로 후분양을 실시하도록 로드맵을 마련해 보겠다”며 “민간부문은 주택도시기금 지원을 높이거나 공공택지를 우선 공급하는 등 후분양제를 유도하는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후분양제는 건설사가 주택을 거의 완공한 다음 분양하는 방식으로 현재 주택을 짓기 전에 분양하는 선분양제와 차이가 있다. 모델하우스가 아닌 실물을 보고 주택을 계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건설사 입장에서는 자금부담이 커진다.

현행법상 선분양과 후분양이 모두 가능하지만 선분양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주택 공급과잉과 투기 등이 발생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참여정부 시절 정부는 후분양제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기로 하고 로드맵까지 마련했으나 건설업계 반대 등으로 무산됐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