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079년을 기점으로 원전제로 시대를 열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백 장관은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단 간담회에서 “신한울 원전 1, 2호기의 설계 수명이 완료되는 시점이 2079년”이라며 “이 시점까지 신규 원전을 건설하지 않고 현재 가동하고 있는 원전도 수명연장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그는 “레볼루션(혁명)이 아니라 이볼루션(진화)하는 탈원전 로드맵을 지니고 있다"며 ”점진적으로 서서히 탈핵 정책을 펴나갈 것이며 원전 등을 급진적으로 중단하거나 폐쇄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탈원전정책으로 전기요금이 급격히 올라가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 장관은 “5년 뒤에는 신재생에너지의 가격 경쟁력이 원자력에 비해 훨씬 좋아질 것”이라며 “현재 전력 수요-공급 현황에 따르면 전력 수요가 줄어드는 추세고 전력이 남아돌고 있어 전기료가 오를 수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그는 전력수급과 관련해 “문재인 정부에서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10기와 고리원전 1호기, 월성원전 1호기의 가동 중단이 예상되는데 4.4기가와트(GW) 규모”라며 “신규 원전 3기와 화력발전소 9기, LNG 발전소 4~5기가 새로 가동돼 발전 쪽에서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보급확산 롤모델로 독일을 꼽았다.
그는 “독일의 경우 국민의 47%가 신재생에너지 사업자”라며 “우리도 지역사회와 주민들이 신재생에너지로 인해 발생하는 이익을 공유하는 모델을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다.
연료비연동제 도입에는 반대했다. 연료비연동제는 2개월마다 산정되는 연료비 변동률이 ±3%를 초과하는 조정요인이 발생하면 요금에 반영하는 제도로 도시가스 등에 적용되고 있다.
백 장관은 “연료비연동제를 도입할 경우 국민과 산업계의 혼란이 예상된다”라며 “연료비 등락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