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사드보복, 환율조작국 지정 등 정책적인 요인으로 판매에 악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준성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이 15일 “현대차가 이익을 높이는 데 노조파업 규모의 축소, 신차의 활약, 신흥국 수요의 반등이 주요요인이 될 것”이라며 “그러나 이런 요인이 현실화할지 미지수인 상황인 데다 중국의 사드보복, 4월 한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등 정책적 불안요소도 있다”고 파악했다.
![]() |
||
▲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 |
현대기아차는 중국에서 현지생산체제를 구축하면서 수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막대한 세금도 내고 있는 만큼 중국이 현대차에 직접적으로 보복할 가능성은 낮다.
그러나 사드문제가 장기화해 중국에서 반한감정이 일 경우 현대차는 중국판매에서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다.
미국이 4월에 한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원달러 환율이 떨어져 국내 수출기업이 피해를 입게 된다.
현대차는 지난해 미국에 차량 34만 대 가량을 수출했다. 현대차는 미국수출 비중이 큰 편이어서 원달러 환율 상으로 수익성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
현대차는 올해 매출 9조5082억 원, 영업이익 5245억 원, 순이익 5343억 원을 낼 것으로 김 연구원은 전망했다. 지난해와 비교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5%, 0.9% 소폭 늘어나지만 순이익이 1.1% 감소하는 수치다.
현대차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1분기에도 부진한 실적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 2월까지 현대차 국내공장 가동률은 78%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포인트 줄었다. 미국 인센티브는 11% 늘었다. 원달러 환율은 3%, 원유로 환율은 7% 떨어지면서 수출 수익성도 떨어졌다.
올해 1분기 현대차의 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현대차의 기업가치는 순이익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며 “현대차가 기업가치를 회복하기 위해서 순이익이 뒷받침돼야 할 것”이라고 파악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