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방사청과 의무후송전용헬기 2차 양산 계약, 1630억 규모

▲ 한국항공우주산업이 생산한 의무후송전용헬기. <한국항공우주산업>

[비즈니스포스트]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방위사업청과 1630억 원 규모의 의무후송전용헬기 2차 양산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계약은 의무후송전용헬기를 비롯 기술교범, 수리부속 등 통합체계지원요소도 포함한다. 

계약 기간은 2028년 12월까지다.

수리온 플랫폼을 바탕으로 개발된 의무후송전용헬기는 응급환자 '골든타임' 확보와 국가적 재난 발생 시 환자 후송과 구호에 쓰인다.

헬기는 후송 중 중증 환자 2명의 응급처치가 가능하고 최대 6명의 환자를 동시에 후송할 수 있다. 

지난 2018년 체결된 1차 양산사업에 따라 현재 육군 의무후송항공대가 의무후송전용헬기를 운용하고 있다.  

지난 10월 서해 최북단 대청도에서 강풍으로 소방헬기 운항이 제한되자 의무후송항공대가 의무후송전용헬기를 투입하여 뇌졸중 의심 응급환자를 긴급 이송한 사례가 있다.

2차 양산 헬기는 1차 양산 물량과 동일하게 자동 높이 조절 기능을 가진 '들것받침장치', '산소공급장치', '심실제세동기, '환자감시장치', '인공호흡기' 등 다양한 전문 의료장비가 장착될 예정이다.
 
또 환자를 끌어올리기 위한 '외장형 호이스트'를 장착해 산악지형 등 착륙이 제한되는 상황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장거리 임무 수행을 위한 '보조연료탱크'가 장착돼 도서·산간 지역 응급환자의 후송과 응급조치 능력이 강화될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