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솔루션 저탄소 식품 설문조사, 응답자 81% "저탄소 대체식품 확산 필요"

▲ 기후솔루션이 20일 국민 2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저탄소식품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사진은 응답자들이 꼽은 저탄소 식품 확산 주체들을 순위별로 나타낸 그래프. <기후솔루션>

[비즈니스포스트] 한국 국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대다수가 저탄소 대체식품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후단체 기후솔루션은 20일 국민 2천 명을 대상으로 '저탄소 식단 및 대체식품 인식 조사'를 벌인 결과 전체 응답자의 81%가 "저탄소 식단·대체식품 확산이 필요하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기후솔루션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시행됐다. 올해 3월11일부터 17일까지 일주일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천 명을 대상으로 지역, 성별, 연령별로 비례할당추출을 통해 웹 설문 응답 방식으로 답변을 받았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91%는 기후위기가 중요한 문제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식품 관련 주요 요인으로는  플라스틱·일회용품(94%), 음식물 쓰레기(90%), 공장식 축산·육류 소비 증가(89%) 등이 꼽혔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평가한 주체는 환경단체가 69%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나 자신'(57%), 중앙정부(46%), 지자체(38%), 기업(36%) 등이 뒤를 이었다. 전반적으로 국민들은 정책 대응이 부족하다는 인식을 가진 것으로 파악됐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저탄소 식단의 개념을 잘 모른다고 답한 비율은 63%였다. 그럼에도 실천 의향이 있다고 답한 비중은 76%에 달했다.

저탄소 식단이 기후위기 대응에 도움이 된다고 보는 응답자 비중은 85%로 매우 높았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81%는 저탄소 식단·대체식품 확산이 필요하다고 봤다. 

저탄소 식단 확산의 책임 주체로 가장 많이 지목한 것은 정부(54%)였다. 식품기업(15%), 일반 시민(12%), 지자체(6%)가 그 뒤를 이었다.

기후솔루션은 저탄소 식품 실천 경험은 전반적으로 낮지만 기후대응 효과를 향한 신뢰도가 높은 만큼 저탄소 식품이 빠르게 확산될 수 있는 정책의 창이 열려 있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김다혜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조사 결과는 저탄소 식단과 대체식품이 국민의 지지를 얻고 있으며, 이제 정부 및 기업이 협력하여 이를 뒷받침할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준다"며 "가격·맛·신뢰·접근성을 해결하면 시장은 훨씬 빠르게 성장할 수 있으므로 정부와 기업의 역할이 결합될 때 저탄소 식단은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 수단이자 국민 건강을 개선하는 장기적 식습관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