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가스공사가 국내 최초로 천연가스 설비 고장을 조기에 판별하는 자동진단장비를 선보인다.
가스공사는 자동진단장비 ‘KESA(KOGAS Electrical Signature Analyzer)’를 자체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가스공사는 지난해부터 ‘액화천연가스(LNG) 생산기지 회전설비 이상 진단 장비 개발’ 연구 과제를 수행해 왔다. 최근에는 주요 천연가스 설비 41대를 대상으로 한 실증 테스트를 마치고 현장 도입을 앞두고 있다.
KESA 자동진단장비는 LNG 생산기지 초저온 LNG 펌프, 증발가스 압축기, 기화해수펌프 등 전동기 구동 방식 설비 약 440대에 공급되는 전력 데이터를 분석해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을 예측한다.
특히 이 장비는 비전문가도 현장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 상태 진단 기능이 탑재된 이동식 기기로 개발됐다.
가스공사는 이번 연구 개발로 설비 진단 장비 도입 비용을 외국 제품과 비교해 60% 절감했다고 설명했다. 고장 진단 범위도 모터부터 부하측 샤프트·베어링·임펠러 등 부품 영역까지 확대했다고 덧붙였다.
올해 말까지 가스공사는 이 장비를 전국 LNG 생산기지 5곳(평택·인천·통영·삼척·제주)에 1대씩 보급하고 사용자 교육을 시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KESA를 활용해 쌓은 각종 정보는 앞으로 가스공사가 구축하는 ‘인공지능(AI) 천연가스 설비 예지보전 시스템’의 학습용 설비 운영 빅데이터로 쓰인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KESA 자동진단장비는 천연가스 설비는 물론 유사 설비를 운영하는 다른 산업 분야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는 만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기술 이전 등 산업 생태계 전반의 상생 혁신에도 힘쓰겠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
가스공사는 자동진단장비 ‘KESA(KOGAS Electrical Signature Analyzer)’를 자체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 한국가스공사가 국내 최초로 천연가스 설비 고장을 조기에 판별하는 자동진단장비를 선보인다.
가스공사는 지난해부터 ‘액화천연가스(LNG) 생산기지 회전설비 이상 진단 장비 개발’ 연구 과제를 수행해 왔다. 최근에는 주요 천연가스 설비 41대를 대상으로 한 실증 테스트를 마치고 현장 도입을 앞두고 있다.
KESA 자동진단장비는 LNG 생산기지 초저온 LNG 펌프, 증발가스 압축기, 기화해수펌프 등 전동기 구동 방식 설비 약 440대에 공급되는 전력 데이터를 분석해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을 예측한다.
특히 이 장비는 비전문가도 현장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 상태 진단 기능이 탑재된 이동식 기기로 개발됐다.
가스공사는 이번 연구 개발로 설비 진단 장비 도입 비용을 외국 제품과 비교해 60% 절감했다고 설명했다. 고장 진단 범위도 모터부터 부하측 샤프트·베어링·임펠러 등 부품 영역까지 확대했다고 덧붙였다.
올해 말까지 가스공사는 이 장비를 전국 LNG 생산기지 5곳(평택·인천·통영·삼척·제주)에 1대씩 보급하고 사용자 교육을 시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KESA를 활용해 쌓은 각종 정보는 앞으로 가스공사가 구축하는 ‘인공지능(AI) 천연가스 설비 예지보전 시스템’의 학습용 설비 운영 빅데이터로 쓰인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KESA 자동진단장비는 천연가스 설비는 물론 유사 설비를 운영하는 다른 산업 분야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는 만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기술 이전 등 산업 생태계 전반의 상생 혁신에도 힘쓰겠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