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장 이억원 금융지주 회장 만나 "생산적ᐧ소비자 중심ᐧ신뢰 금융으로의 대전환" 강조

▲ (왼쪽부터) 이찬우 농협금융지주회장, 빈대인 BNK 금융지주회장, 김기홍 JB금융지주회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회장, 임종룡 우리금융지주회장, 이억원 금융위원장,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양종희 KB금융지주회장, 진옥동 신한금융지주회장, 황병우 iM금융지주회장이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간담회에 참석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금융지주 회장들에게 '생산적ᐧ소비자 중심ᐧ신뢰 금융'으로의 대전환을 주문했다.  

금융위원회는 15일 이억원 금융위원장의 취임 후 첫 공식 일정으로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금융위원장-금융지주 회장 간담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간담회에는 이 위원장과 양종희 KB금융지주회장, 진옥동 신한금융지주회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회장, 임종룡 우리금융지주회장, 이찬우 농협금융지주회장, 황병우 iM금융지주회장, 빈대인 BNK 금융지주회장, 김기홍 JB금융지주회장,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 위원장은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금융의 방향 전환이 시급하다”며 “생산적 금융, 소비자 중심 금융, 그리고 신뢰 금융으로의 대전환”을 주문했다. 

정부와 금융업계는 이번 간담회에서 한국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금융산업이 나아가야 할 3가지 방향의 금융 대전환에 대해 논의했다.

이 위원장은 먼저 생산적 금융으로의 대전환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첨단산업, 벤처ᐧ혁신기업, 지역경제, 재생에너지 등 보다 생산성이 높은 새로운 영역으로 자금을 공급해 한국 경제의 미래를 바꿔나가야 할 시점”이라며 “금융권과 금융 수요자, 전문가 등이 함께하는 자리를 마련해 생산적 금융의 세부 과제를 구체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자율적ᐧ선제적 채무조정과 서민금융상품의 공급 등에 앞장서달라”며 “금융수요자를 경영의 중심에 두고 영업의 모든 과정과 내부통제를 꼼꼼하게 살피는 각고의 노력을 병행해달라”고 소비자 중심 금융에 대해 당부했다. 

마지막으로 신뢰금융으로의 대전환을 위한 철저한 리스크 관리를 강조하면서 특히 가계부채 관리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착륙, 제2금융권 연체율 안정화 및 취약한 주력산업의 사업재편 등을 꼽았다. 

이 위원장은 18년 만에 단행되는 금융감독체계 개편안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정책은 보다 정책답게 감독은 보다 감독답게 기능하고, 건정성과 소비자 보호의 상충을 해소하는 미래지향적 개편이 되어야 한다”며 “그 과정에서 금융회사와 금융소비자의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금융지주회장들은 금융산업이 효율적 자원배분이라는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함으로써 생산적 금융 확대 및 경제 재도약을 뒷받침하겠다고 의견을 모았다. 

다만 원활한 생산적 금융을 위해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에 적용되는 위험가중치(RWA)에서 글로벌 기준보다 엄격한 부분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이 위원장은 “오늘 논의된 다양한 아이디어를 금융정책과 감독에 반영할 것”이라며 “금융의 새로운 역할을 위해 정부, 업계, 유관기관이 ‘원팀’이 돼 함께 나아가자”고 말했다. 전해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