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성전자가 미국 트럼프 정부의 지분 확보 압박에 표적이 될 공산이 크다. 정부 관계자가 미국에 투자를 늘리는 TSMC와 마이크론은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전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텍사스주 테일러 반도체 공장 건설 현장.
삼성전자는 경쟁사와 비교해 미국에 설비 투자 규모가 상대적으로 적은 만큼 미국 정부의 압박을 벗어나려면 반도체 공장 증설을 대폭 확대해야만 할 수도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22일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TSMC 경영진은 최근 미국 정부가 지분 참여를 요구한다면 보조금을 되돌려주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최근 CNBC와 인터뷰에서 “인텔의 지분 10% 인수를 논의하고 있다”며 “다른 기업에도 지분 확보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발언은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TSMC, 마이크론 등 대형 반도체 기업의 지분 인수를 추진할 수 있다는 업계 우려를 키웠다.
TSMC가 이에 따라 정부 지원금을 포기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는 셈이다.
다만 미국 정부 관계자는 월스트리트저널에 “TSMC나 마이크론처럼 미국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기업의 지분을 정부가 보유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해당 기업들은 미국의 지분 확보 압박에서 자유로울 것이라고 확인해준 셈이다.
그러나 미국 내 투자 규모가 상대적으로 적은 삼성전자에는 이러한 압박이 남아있을 공산이 크다.
TSMC는 현재 미국에 모두 1650억 달러(약 231조 원)의 투자를 결정했다. 마이크론은 연구개발 및 생산 설비 구축에 2천억 달러(약 280조 원)에 이르는 자금을 들이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반면 삼성전자는 450억 달러(약 63조 원)의 투자 계획을 두고 있다.
이들 기업이 미국 정부에서 받는 보조금 규모가 비슷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삼성전자가 미국 정부의 타깃으로 놓일 가능성이 유력한 셈이다.
만약 삼성전자가 미국 반도체 보조금에 해당하는 만큼의 주식을 내놓아야 한다면 이는 전체 지분의 약 1.5%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유상증자를 통한 신주 발행 방식이 될 가능성이 유력한 만큼 기존 주주들에 피해가 돌아갈 수 있다.
삼성전자가 이를 피하려면 미국 내 설비 투자 규모를 TSMC나 마이크론의 기준에 맞춰 대폭 늘려야 할 수도 있다. 적잖은 비용 부담이 불가피해지는 셈이다.
TSMC와 같이 미국 정부의 보조금을 포기하고 지분을 지킨다면 설비 투자에 드는 자금을 확보하는 일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트럼프 정부는 미국 내 투자 규모를 기준으로 IT기업을 대상으로 한 압박을 이어가고 있다”며 “이번에 언급된 내용도 같은 선상에 있다”고 전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