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메리츠화재가 2018년 선보인 반려동물 보험(펫보험) 가입 현황을 분석했다.

메리츠화재는 펫보험 ‘펫퍼민트’가 출시 7년 만에 누적 가입건수 13만 건을 돌파했다고 28일 밝혔다. 이와 함께 매년 내놓는 펫보험 분석 자료를 발표했다.
 
메리츠화재 펫보험 '펫퍼민트', 출시 7년 만에 가입 13만 건 돌파

▲ 메리츠화재가 펫보험 가입 건수가 13만 건을 넘었다고 28일 밝혔다. <메리츠화재>


메리츠화재에 따르면 2018년 10월 펫퍼민트 출시 뒤 올해 6월 말 기준 전체 가입 건수는 약 13만 5천 건이다. 이 가운데 반려견은 약 11만5천 마리, 반려묘는 약 2만 마리다.

반려견과 반려묘 모두 서울·경기 지역 가입 비중이 50% 이상을 차지했다.
 
반려견 보험금 지급건수 가운데 가장 많은 사유는 외이도염(1만6521건)이었다. 이어 위·장염(1만4495건), 구토(1만325건), 외이염(9415건) 등 순서로 보험금 지급이 많았다. 

지급 규모별로 원인을 살펴보면 슬개골 탈구로 인해 보험금 약 73억 원이 지급됐다. 소형견 위주, 실내 양육이 많은 국내 반려견 환경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됐다.

십자인대 손상 및 파열(23억9천만 원), 위·장염(19억8천만 원), 외이도염(19억7천만 원) 등의 사유로도 보험금이 많이 지급됐다.

반려묘 보험금 지급건수는 구토(1033건), 위·장염(766건), 결막염(662건) 등 순서로 많았다. 보험금 지급액은 이물섭식(1억8천만 원), 구토(1억7천만 원), 위·장염(1억5천만 원) 등의 순서였다. 
 
고양이는 그루밍(털 핥기, 정리)에 따른 ‘고양이 헤어볼’ 등에 따라 구토, 신경성 위염·장염 등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김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