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에어프레미아가 3월1일부터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난기류 인식 플랫폼을 도입한다고 24일 밝혔다.
해당 플랫폼은 지난해 말 기준 세계 25개 항공사의 약 2600여대가 이용하고 있으며 항공기에서 수집한 난기류 정보를 난기류 인식 플랫폼에 전달하면 객관적 수치로 변환해 회원사들에게 공유하는 시스템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항공사들이 만난 난기류는 총 1만4802건으로 5년 전과 비교하면 무려 7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에어프레미아는 난기류 인식 플랫폼을 도입하면서 실시간 대응이 가능해졌다.
특히 난기류 예보가 있더라도 실제로 발생하지 않았을 때와, 반대로 예보되지 않은 난기류에도 효과적으로 대응이 가능해 승객과 승무원의 안전사고가 줄어들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고윤범 에어프레미아 안전보안실장은 “IATA의 표준화된 프로그램을 도입하며 고객 신뢰도 향상과 안전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다”며 “승객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비행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도은 기자
해당 플랫폼은 지난해 말 기준 세계 25개 항공사의 약 2600여대가 이용하고 있으며 항공기에서 수집한 난기류 정보를 난기류 인식 플랫폼에 전달하면 객관적 수치로 변환해 회원사들에게 공유하는 시스템이다.

▲ 에어프레미아가 3월1일부터 IATA의 난기류 인식 플랫폼을 도입한다고 24일 밝혔다. <에어프레미아>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항공사들이 만난 난기류는 총 1만4802건으로 5년 전과 비교하면 무려 7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에어프레미아는 난기류 인식 플랫폼을 도입하면서 실시간 대응이 가능해졌다.
특히 난기류 예보가 있더라도 실제로 발생하지 않았을 때와, 반대로 예보되지 않은 난기류에도 효과적으로 대응이 가능해 승객과 승무원의 안전사고가 줄어들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고윤범 에어프레미아 안전보안실장은 “IATA의 표준화된 프로그램을 도입하며 고객 신뢰도 향상과 안전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다”며 “승객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비행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도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