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비수도권 아파트 분양경기가 소폭 나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주택산업연구원은 2월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1월보다 4.0포인트 상승한 75.4로 집계됐다고 11일 밝혔다.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분양을 앞두고 있거나 분양하고 있는 아파트 단지의 분양여건을 공급자 입장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지표다. 매월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다.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기준치인 100을 넘으면 분양전망이 긍정적이라고 여겨진다.
2월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를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0.2포인트 하락한 76.6, 비수도권은 4.8포인트 상승한 75.1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는 서울이 2.4포인트 하락한 87.1, 경기가 0.9포인트 내린 66.7인 반면 인천은 2.7포인트 오른 76.0으로 집계됐다.
비수도권에서는 광주(80.0), 전남(75.0), 대구(76.2), 충남(77.8) 등에서 10포인트 이상 상승했고 부산(77.8), 대전(69.2), 경북(81.8), 제주(80.0), 세종(76.9), 경남(69.2)도 높아졌다.
반면 강원(66.7), 울산(69.2), 전북(81.8), 충북(70.0)의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하락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비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지난 달 큰 폭 하락에 따른 상승(기저효과)이 있었지만 여전히 모든 시·도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기준치(100)를 크게 밑돌아 전국적으로 아파트 분양시장 상황이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고 설명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담보대출 규제, 정치적 불확실성, 경기침체 우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분양전망지수가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이 밖에도 비상계엄사태 이후 급격한 환율 상승에 따라 수입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아파트 분양 사업성이 약화한 점, 전국적으로 미분양 주택이 증가한 점도 시장에 약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2월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4.5포인트 상승한 105.9,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7.1포인트 오른 84.6,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10.7포인트 높아진 113.5로 집계됐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신동아건설 등 중견 건설사들의 부도가 잇따르면서 건설사업자 수가 급감하고 있고 이 추세가 지속하면 향후 주택공급 문제가 심화하고 부동산 시장 불안성정도 커질 것”이라며 “정부와 금융기관이 불합리한 PF 및 주담대 심사기준을 개선하고 미분양 주택 관련 정책적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건설업계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바라봤다. 장상유 기자
주택산업연구원은 2월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1월보다 4.0포인트 상승한 75.4로 집계됐다고 11일 밝혔다.

▲ 서울 시내에 들어선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분양을 앞두고 있거나 분양하고 있는 아파트 단지의 분양여건을 공급자 입장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지표다. 매월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다.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기준치인 100을 넘으면 분양전망이 긍정적이라고 여겨진다.
2월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를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0.2포인트 하락한 76.6, 비수도권은 4.8포인트 상승한 75.1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는 서울이 2.4포인트 하락한 87.1, 경기가 0.9포인트 내린 66.7인 반면 인천은 2.7포인트 오른 76.0으로 집계됐다.
비수도권에서는 광주(80.0), 전남(75.0), 대구(76.2), 충남(77.8) 등에서 10포인트 이상 상승했고 부산(77.8), 대전(69.2), 경북(81.8), 제주(80.0), 세종(76.9), 경남(69.2)도 높아졌다.
반면 강원(66.7), 울산(69.2), 전북(81.8), 충북(70.0)의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하락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비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지난 달 큰 폭 하락에 따른 상승(기저효과)이 있었지만 여전히 모든 시·도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기준치(100)를 크게 밑돌아 전국적으로 아파트 분양시장 상황이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고 설명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담보대출 규제, 정치적 불확실성, 경기침체 우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분양전망지수가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이 밖에도 비상계엄사태 이후 급격한 환율 상승에 따라 수입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아파트 분양 사업성이 약화한 점, 전국적으로 미분양 주택이 증가한 점도 시장에 약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2월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4.5포인트 상승한 105.9,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7.1포인트 오른 84.6,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10.7포인트 높아진 113.5로 집계됐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신동아건설 등 중견 건설사들의 부도가 잇따르면서 건설사업자 수가 급감하고 있고 이 추세가 지속하면 향후 주택공급 문제가 심화하고 부동산 시장 불안성정도 커질 것”이라며 “정부와 금융기관이 불합리한 PF 및 주담대 심사기준을 개선하고 미분양 주택 관련 정책적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건설업계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바라봤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