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LG유플러스는 2024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14조6252억 원, 영업이익 8631억 원, 순이익 3529억 원을 냈다고 6일 밝혔다. 2023년과 비교해 매출은 1.8%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3.5%, 순이익은 44% 각각 감소했다.
회사 측은 “지난해 실적과 관련해 통화 에이전트 ‘익시오’, IPTV의 ‘AI 미디어 에이전트’ 등 유무선 서비스의 AX(AI 전환)에 따른 고가치 가입 회선이 늘어난 덕분에 매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회사 측은 “다만 영업이익은 신규 통합전선시스템 구축으로 인한 무형자산상각비용과 통상임금 범위 확대 판결에 따른 일회성 인건비 등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무선서비스 매출은 6조1171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 증가했다.
전체 무선가입회선 수는 2851만5천 개로 전년에 비해 13.6% 늘었다. MNO(이동통신) 가입회선은 2023년 대비 8.5% 증가한 2036만8천 개로 집계됐다. MVNO(알뜰폰) 회선은 2023년과 비교해 28.8% 늘어난 814만7천 개로 나타났다.
IPTV와 초고속인터넷 사업으로 구성된 스마트홈 부문 매출은 2023년 대비 3.7% 증가한 2조5060억 원을 기록했다.
기업인프라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1.3% 증가한 1조7055억 원을 나타냈다.
2024년 4분기 기준 매출은 3조7532억 원, 영업이익은 1422억 원, 순손실 770억 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 4분기 대비 매출은 1.8%, 영업이익은 27.3% 각각 줄고 순손실을 내면서 적자 전환했다.
2024년 회계연도 배당금은 지난해와 같은 650원으로 확정했다. 배당성향은 54.7%로 2023년 대비 11.5%포인트 증가했다.
올해 주주환원율을 순이익의 40~60%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여명희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 전무는 “올해 인공지능전환(AX) 사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과 기존 사업의 선택과 집중을 통한 사업 구조 개편에 집중해 나갈 것”이라며 “올해 경영 가이던스인 연결기준 서비스 매출 2% 이상 성장을 달성하는 동시 기업가치 및 주주이익을 높이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
회사 측은 “지난해 실적과 관련해 통화 에이전트 ‘익시오’, IPTV의 ‘AI 미디어 에이전트’ 등 유무선 서비스의 AX(AI 전환)에 따른 고가치 가입 회선이 늘어난 덕분에 매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 6일 LG유플러스는 지난해 매출 14조6252억 원, 영업이익 8631억 원, 순이익 3529억 원을 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회사 측은 “다만 영업이익은 신규 통합전선시스템 구축으로 인한 무형자산상각비용과 통상임금 범위 확대 판결에 따른 일회성 인건비 등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무선서비스 매출은 6조1171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 증가했다.
전체 무선가입회선 수는 2851만5천 개로 전년에 비해 13.6% 늘었다. MNO(이동통신) 가입회선은 2023년 대비 8.5% 증가한 2036만8천 개로 집계됐다. MVNO(알뜰폰) 회선은 2023년과 비교해 28.8% 늘어난 814만7천 개로 나타났다.
IPTV와 초고속인터넷 사업으로 구성된 스마트홈 부문 매출은 2023년 대비 3.7% 증가한 2조5060억 원을 기록했다.
기업인프라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1.3% 증가한 1조7055억 원을 나타냈다.
2024년 4분기 기준 매출은 3조7532억 원, 영업이익은 1422억 원, 순손실 770억 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 4분기 대비 매출은 1.8%, 영업이익은 27.3% 각각 줄고 순손실을 내면서 적자 전환했다.
2024년 회계연도 배당금은 지난해와 같은 650원으로 확정했다. 배당성향은 54.7%로 2023년 대비 11.5%포인트 증가했다.
올해 주주환원율을 순이익의 40~60%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여명희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 전무는 “올해 인공지능전환(AX) 사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과 기존 사업의 선택과 집중을 통한 사업 구조 개편에 집중해 나갈 것”이라며 “올해 경영 가이던스인 연결기준 서비스 매출 2% 이상 성장을 달성하는 동시 기업가치 및 주주이익을 높이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