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DGB금융지주 주식 투자의견이 중립으로 하향 조정됐다. 3분기 자산건전성과 순이익이 악화한 것으로 추정됐다.
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4일 DGB금융지주 투자의견을 기존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했다. 목표주가는 별도로 제시하지 않았다.
DGB금융지주 주가는 2일 809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백 연구원은 “DGB금융지주는 올해 3분기 시장 예상치(컨센서스)를 밑도는 순이익을 냈을 것”이라며 “대출 포트폴리오 일부 조정 효과가 순이자마진(NIM)에 부정적으로 반영됐다고 추정한다”고 말했다.
DGB금융지주는 3분기 연결기준 순이익 1206억 원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시장 예상치를 10%가량 밑도는 수치다.
충당금 적립으로 자산건전성도 악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백 연구원은 “연말까지 증권 계열사 중심으로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추가 충당금이 계속 늘어날 것으로 바라본다”며 “은행 계열사 충당금전입액도 늘어나고 있는 점이 다소 아쉽다”고 평가했다.
DGB금융지주는 2024년 연결기준 순이익 3576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2023년보다 7.8% 줄어드는 것이다. 김지영 기자
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4일 DGB금융지주 투자의견을 기존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했다. 목표주가는 별도로 제시하지 않았다.

▲ DGB금융지주 순이익과 자산건전성이 악화된 것으로 파악됐다.
DGB금융지주 주가는 2일 809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백 연구원은 “DGB금융지주는 올해 3분기 시장 예상치(컨센서스)를 밑도는 순이익을 냈을 것”이라며 “대출 포트폴리오 일부 조정 효과가 순이자마진(NIM)에 부정적으로 반영됐다고 추정한다”고 말했다.
DGB금융지주는 3분기 연결기준 순이익 1206억 원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시장 예상치를 10%가량 밑도는 수치다.
충당금 적립으로 자산건전성도 악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백 연구원은 “연말까지 증권 계열사 중심으로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추가 충당금이 계속 늘어날 것으로 바라본다”며 “은행 계열사 충당금전입액도 늘어나고 있는 점이 다소 아쉽다”고 평가했다.
DGB금융지주는 2024년 연결기준 순이익 3576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2023년보다 7.8% 줄어드는 것이다. 김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