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자원환경 부문 혁신기술 워크숍 참석자들이 13일 대전 한국수자원공사 본사에서 세계 물의 날을 기념해 열린 워크숍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공사는 13일 대전 수자원공사 본사에서 세계 물의 날을 기념하고 지속 가능한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수자원환경 부문 혁신기술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수자원공사 관계자뿐만 아니라 학계 등 민간 전문가가 참여해 수자원공사가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를 발표하고 이와 관련한 토론 등을 진행했다.
수자원공사는 이번 워크숍을 통해 과거보다 늘어난 홍수와 가뭄 등 기후변화로 어려워진 수자원 관리 개선 방법과 수자원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기술 발전 방향 등이 논의된다면 앞으로도 안정적 물 공급이 가능해지리라고 기대했다.
수자원공사는 이번 워크숍에서 공사가 보유한 혁신기술도 발표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과거 자료에 기반한 미래 물 수급 분석 모형 △물 재해 상황의 가상 현실을 예측하는 디지털 트윈 물관리 플랫폼 등이었다.
혁신기술 발표 뒤 이어진 토론회에서는 전문가들이 스스로 학습할 뿐만 아니라 결정을 내리는 권한을 가진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도입 가능성 등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
장병훈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환경부문장은 “물 전문 공기업으로서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물 분야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기 위해 전문가 그룹과 교류를 확대할 것”이라며 “오늘 제시된 의견을 최대한 반영해 디지털 트윈 물관리 플랫폼과 같은 초격차 기술을 추가 발굴하고 안정적 물 공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김홍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