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내은행 재무건전성이 3월 말보다 모두 소폭 올랐다.
금융감독원이 4일 발표한 ‘6월 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국제결제은행)기준 자본비율 현황’에 따르면 국내 은행 BIS기준 보통주자본비율은 12.98%, 기본자본비율은 14.27%, 총자본비율은 15.62%로 집계됐다. 각각 3월 말보다 0.08%포인트와 0.01%포인트, 0.01%포인트 늘었다.
BIS기준 자본비율은 국제결제은행이 은행 재무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자본의 비율을 설정해 둔 지표다. 자본 분류방식에 따라 보통주와 기본자본, 총자본 등으로 나뉜다.
금감원은 “대출이 늘면서 위험가중자산이 1.7% 가량 확대됐지만 분기 순이익이나 후순위채 발행 등으로 자본도 늘어나 자본비율이 소폭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분모에 해당하는 대출이 늘었지만 분자인 순이익이나 후순위채 발행 등이 더 증가했다는 이야기다.
규제수준과 비교해 보면 모든 국내은행 자본비율이 규제비율을 웃돌았다. 국내 규제비율은 보통주자본비율 7.0%, 기본자본비율 8.5%, 총자본비율 10.5%다.
단순기본자본비율도 6.53%로 3월 말보다 0.04%포인트 증가했다. 단순기본자본비율의 규제비율(은행지주 미도입)은 3%다.
금감원은 “자본비율을 주시하며 상대적으로 취약한 은행을 중심으로 자본적정성 관리를 강화하겠다”며 “경기대응완충자본(CCyB) 적립의무 부과와 스트레스 완충자본 도입 등을 차질 없이 준비해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한 충분한 자본여력을 갖추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김환 기자
금융감독원이 4일 발표한 ‘6월 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국제결제은행)기준 자본비율 현황’에 따르면 국내 은행 BIS기준 보통주자본비율은 12.98%, 기본자본비율은 14.27%, 총자본비율은 15.62%로 집계됐다. 각각 3월 말보다 0.08%포인트와 0.01%포인트, 0.01%포인트 늘었다.

▲ 국내은행 재무건전성을 의미하는 자본적정성 지표가 6월 말 기준 3월 말보다 소폭 오른 것으로 금융감독원이 파악했다. .
BIS기준 자본비율은 국제결제은행이 은행 재무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자본의 비율을 설정해 둔 지표다. 자본 분류방식에 따라 보통주와 기본자본, 총자본 등으로 나뉜다.
금감원은 “대출이 늘면서 위험가중자산이 1.7% 가량 확대됐지만 분기 순이익이나 후순위채 발행 등으로 자본도 늘어나 자본비율이 소폭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분모에 해당하는 대출이 늘었지만 분자인 순이익이나 후순위채 발행 등이 더 증가했다는 이야기다.
규제수준과 비교해 보면 모든 국내은행 자본비율이 규제비율을 웃돌았다. 국내 규제비율은 보통주자본비율 7.0%, 기본자본비율 8.5%, 총자본비율 10.5%다.
단순기본자본비율도 6.53%로 3월 말보다 0.04%포인트 증가했다. 단순기본자본비율의 규제비율(은행지주 미도입)은 3%다.
금감원은 “자본비율을 주시하며 상대적으로 취약한 은행을 중심으로 자본적정성 관리를 강화하겠다”며 “경기대응완충자본(CCyB) 적립의무 부과와 스트레스 완충자본 도입 등을 차질 없이 준비해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한 충분한 자본여력을 갖추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