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키움증권이 주식 거래대금 증가에 수혜를 봐 실적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9일 키움증권 투자의견 매수(BUY), 목표주가 14만 원을 유지하고 업종 최선호주(톱픽)로 꼽았다.
키움증권 주가는 전날 10만32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박 연구원은 “8월까지의 (증시) 거래대금이 2분기 대비 30% 증가한 상황이라 3분기 키움증권의 브로커리지 수수료 수익은 25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내다봤다.
이어 “키움증권은 2021년 거래대금이 급증했을 때 브로커리지 수수료 수익만 1조 원이 반영됐다”며 “브로커리지가 워낙 호조이기 때문에 이익 가시성도 높다”고 덧붙였다.
키움증권은 올해 지배주주 순이익 826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과 비교해 62.9% 증가하는 것이다.
키움증권은 국내외 주식시장 점유율이 회복되지 못하는 점은 우려 요인이지만 해외주식 수수료율이 다른 증권사보다 높은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차익결제거래(CFD) 관련 이슈는 2분기에 해소된 것으로 파악된다.
박 연구원은 “CFD 관련 충당금은 2분기 전액 반영하였는데 고객들이 증거금을 납부하고 있어 환입이 이뤄지고 있다”며 “따라서 관련 이슈는 2분기 완전히 해소됐다”고 바라봤다. 차화영 기자
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9일 키움증권 투자의견 매수(BUY), 목표주가 14만 원을 유지하고 업종 최선호주(톱픽)로 꼽았다.

▲ 9일 대신증권은 키움증권을 업종 최선호주로 꼽았다.
키움증권 주가는 전날 10만32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박 연구원은 “8월까지의 (증시) 거래대금이 2분기 대비 30% 증가한 상황이라 3분기 키움증권의 브로커리지 수수료 수익은 25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내다봤다.
이어 “키움증권은 2021년 거래대금이 급증했을 때 브로커리지 수수료 수익만 1조 원이 반영됐다”며 “브로커리지가 워낙 호조이기 때문에 이익 가시성도 높다”고 덧붙였다.
키움증권은 올해 지배주주 순이익 826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과 비교해 62.9% 증가하는 것이다.
키움증권은 국내외 주식시장 점유율이 회복되지 못하는 점은 우려 요인이지만 해외주식 수수료율이 다른 증권사보다 높은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차익결제거래(CFD) 관련 이슈는 2분기에 해소된 것으로 파악된다.
박 연구원은 “CFD 관련 충당금은 2분기 전액 반영하였는데 고객들이 증거금을 납부하고 있어 환입이 이뤄지고 있다”며 “따라서 관련 이슈는 2분기 완전히 해소됐다”고 바라봤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