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건설이 2023년 1분기 매출이 45% 전년보다 급증했다. 영업이익도 소폭 증가했고 신규수주 30조 원을 기록했다.
현대건설은 2023년 1분기 매출 6조311억 원, 영업이익 1735억 원, 순이익 1505억 원을 거둬 2022년 1분기보다 매출은 45.5%, 영업이익은 1.2% 늘고 순이익은 17.8% 감소했다고 21일 공시했다.
현대건설은 3년 동안 분양시장 호조에 따라 주택사업부문 실적이 확대되고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터널, 자푸라 가스처리시설, 파나마 메트로 3호선, 이라크 바스라 정유공장 공사 등 해외 대형 공정이 본격화해 실적이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현대건설의 올해 1분기 신규수주는 5조9367억 원으로 올해 목표(29조900억 원)의 20.4%를 채웠다. 수주잔고는 87조6245억 원으로 4년 정도의 일감을 확보해뒀다.
현대건설은 시공역량, 기술 노하우 등을 통해 설계기술력에 기반을 둔 사업권 확보에 나선다는 방침을 세웠다.
현대건설은 안정적 재무구조도 지속 유지하고 있다.
현대건설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단기금융상품 포함)은 4조4571억 원, 순현금은 2조7006억 원으로 높은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다. 유동비율은 176.4%, 부채비율은 114.9%로 나타났다.
신용등급도 업계 최상위 수준인 AA- 등급으로 탄탄한 편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차세대 원전, 수소플랜트, 전력중개거래사업(PPA) 등 에너지전환 신사업을 확장해 탄소중립 실현을 가속화하고 차별화한 기술력 기반의 비경쟁 사업을 추진하겠다”며 “스마트 건설기술을 활용해 현장의 안전과 생산성을 높이고 사업영역 다각화를 통해 지속 성장의 기반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류수재 기자
현대건설은 2023년 1분기 매출 6조311억 원, 영업이익 1735억 원, 순이익 1505억 원을 거둬 2022년 1분기보다 매출은 45.5%, 영업이익은 1.2% 늘고 순이익은 17.8% 감소했다고 21일 공시했다.
▲ 현대건설이 2023년 1분기 매출이 45% 전년보다 급증했다. 영업이익도 소폭 증가했고 신규수주 30조 원을 기록했다.
현대건설은 3년 동안 분양시장 호조에 따라 주택사업부문 실적이 확대되고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터널, 자푸라 가스처리시설, 파나마 메트로 3호선, 이라크 바스라 정유공장 공사 등 해외 대형 공정이 본격화해 실적이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현대건설의 올해 1분기 신규수주는 5조9367억 원으로 올해 목표(29조900억 원)의 20.4%를 채웠다. 수주잔고는 87조6245억 원으로 4년 정도의 일감을 확보해뒀다.
현대건설은 시공역량, 기술 노하우 등을 통해 설계기술력에 기반을 둔 사업권 확보에 나선다는 방침을 세웠다.
현대건설은 안정적 재무구조도 지속 유지하고 있다.
현대건설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단기금융상품 포함)은 4조4571억 원, 순현금은 2조7006억 원으로 높은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다. 유동비율은 176.4%, 부채비율은 114.9%로 나타났다.
신용등급도 업계 최상위 수준인 AA- 등급으로 탄탄한 편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차세대 원전, 수소플랜트, 전력중개거래사업(PPA) 등 에너지전환 신사업을 확장해 탄소중립 실현을 가속화하고 차별화한 기술력 기반의 비경쟁 사업을 추진하겠다”며 “스마트 건설기술을 활용해 현장의 안전과 생산성을 높이고 사업영역 다각화를 통해 지속 성장의 기반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