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2분기 국내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소폭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금융감독원이 내놓은 ‘2022년 6월 말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 BIS기준 자본비율 현황(잠정)’에 따르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 기준 보통주자본비율은 12.70%로 집계됐다. 3월 말보다 0.29%포인트 낮아졌다.
다른 지표인 총자본비율은 15.29%, 기본자본비율은 13.94%로 각각 조사됐다. 3월 말과 비교해 총자본비율은 0.23%포인트, 기본자본비율은 0.28%포인트 각각 낮아졌다.
채권평가손실에 따른 자본 감소로 자산증가율(2.4%)이 자본증가율(0.9%)을 웃돌면서 대부분 은행에서 자본비율이 하락했다고 금감원은 평가했다.
금리 상승이 채권평가손실로 이어지고 기타포괄손익누계액 등이 크게 줄어든 점이 자본비율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6월 말 기준으로 모든 국내은행이 규제비율을 넘긴 것으로 조사됐다.
금감원은 은행들에 총자본비율 10.5%, 기본자본비율 8.5%, 보통주자본비율 7.0% 수준 이상을 유지할 것을 각각 권고하고 있다.
은행별 보통주자본비율은 카카오뱅크가 36.28%로 가장 높았다. 한국씨티은행이 16.52%로 15% 이상을 나타냈다.
5대 금융지주의 보통주자본비율은 하나금융지주(13.18%), KB금융지주(12.93%), 신한금융지주(12.73%), NH농협금융지주(12.54%), 우리금융지주(11.06%) 순으로 높았다.
금감원은 “국내은행의 자본비율은 3월 말보다 하락했으나 모든 은행의 자본비율이 규제 비율을 웃도는 등 현재까지 자본 적정성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다만 최근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대내외 경제여건이 악화하고 있어 예상치 못한 손실이 확대될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차화영 기자
7일 금융감독원이 내놓은 ‘2022년 6월 말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 BIS기준 자본비율 현황(잠정)’에 따르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 기준 보통주자본비율은 12.70%로 집계됐다. 3월 말보다 0.29%포인트 낮아졌다.
▲ 6월 말 은행의 국제결제은행 기준 보통주자본비율은 12.70%로 3월 말보다 0.29%포인트 낮아졌다.
다른 지표인 총자본비율은 15.29%, 기본자본비율은 13.94%로 각각 조사됐다. 3월 말과 비교해 총자본비율은 0.23%포인트, 기본자본비율은 0.28%포인트 각각 낮아졌다.
채권평가손실에 따른 자본 감소로 자산증가율(2.4%)이 자본증가율(0.9%)을 웃돌면서 대부분 은행에서 자본비율이 하락했다고 금감원은 평가했다.
금리 상승이 채권평가손실로 이어지고 기타포괄손익누계액 등이 크게 줄어든 점이 자본비율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6월 말 기준으로 모든 국내은행이 규제비율을 넘긴 것으로 조사됐다.
금감원은 은행들에 총자본비율 10.5%, 기본자본비율 8.5%, 보통주자본비율 7.0% 수준 이상을 유지할 것을 각각 권고하고 있다.
은행별 보통주자본비율은 카카오뱅크가 36.28%로 가장 높았다. 한국씨티은행이 16.52%로 15% 이상을 나타냈다.
5대 금융지주의 보통주자본비율은 하나금융지주(13.18%), KB금융지주(12.93%), 신한금융지주(12.73%), NH농협금융지주(12.54%), 우리금융지주(11.06%) 순으로 높았다.
금감원은 “국내은행의 자본비율은 3월 말보다 하락했으나 모든 은행의 자본비율이 규제 비율을 웃도는 등 현재까지 자본 적정성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다만 최근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대내외 경제여건이 악화하고 있어 예상치 못한 손실이 확대될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