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애플이 글로벌 프리미엄 스마트폰(판매가격 400달러 넘는 스마트폰) 시장점유율 1위 입지를 공고히 했다.
4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글로벌 프리미엄 스마트폰시장에서 애플의 시장점유율은 57%로 집계됐다.
지난해 2분기 시장점유율 56%보다 1% 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신흥 국가를 중심으로 LTE 아이폰을 신형 5G 아이폰으로 교체하는 이용자가 많은 영향으로 분석됐다.
삼성전자는 애플의 뒤를 이어 2위를 지켰는데 삼성전자의 올해 2분기 글로벌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점유율은 19%로 전년 동기대비 2% 포인트 높아졌다.
올해 2월25일 출시된 삼성전자의 갤럭시S22울트라가 이같은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갤럭시S22울트라는 1~2분기 글로벌 프리미엄 스마트폰 가운데 가장 많이 팔린 안드로이드 운영체제가 탑재된 스마트폰으로 선정됐다.
애플, 삼성전자의 뒤를 이어 비보, 오포, 샤오미가 각각 4%의 점유율을 보였으며 화웨이는 3%에 그쳤다.
올해 2분기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평균판매가격(ASP)은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한 780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이를 놓고 1천 달러 이상의 스마트폰 매출이 지난해 2분기보다 94%나 급증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타룬 파탁 카운터포인트리서치 디렉터는 “하반기 삼성전자와 애플의 새로운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리즈가 출시돼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을 이끌 것이다”고 말했다. 최영찬 기자
4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글로벌 프리미엄 스마트폰시장에서 애플의 시장점유율은 57%로 집계됐다.

▲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글로벌 프리미엄 스마트폰시장에서 애플의 시장점유율은 57%, 삼성전자의 시장점유율은 19%로 집계됐다. 사진은 애플의 아이폰13시리즈(왼쪽)와 삼성전자의 갤럭시S22시리즈.
지난해 2분기 시장점유율 56%보다 1% 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신흥 국가를 중심으로 LTE 아이폰을 신형 5G 아이폰으로 교체하는 이용자가 많은 영향으로 분석됐다.
삼성전자는 애플의 뒤를 이어 2위를 지켰는데 삼성전자의 올해 2분기 글로벌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점유율은 19%로 전년 동기대비 2% 포인트 높아졌다.
올해 2월25일 출시된 삼성전자의 갤럭시S22울트라가 이같은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갤럭시S22울트라는 1~2분기 글로벌 프리미엄 스마트폰 가운데 가장 많이 팔린 안드로이드 운영체제가 탑재된 스마트폰으로 선정됐다.
애플, 삼성전자의 뒤를 이어 비보, 오포, 샤오미가 각각 4%의 점유율을 보였으며 화웨이는 3%에 그쳤다.
올해 2분기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평균판매가격(ASP)은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한 780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이를 놓고 1천 달러 이상의 스마트폰 매출이 지난해 2분기보다 94%나 급증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타룬 파탁 카운터포인트리서치 디렉터는 “하반기 삼성전자와 애플의 새로운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리즈가 출시돼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을 이끌 것이다”고 말했다. 최영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