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NH투자증권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7월 들어 금리 상승세가 주춤하면서 2분기 적자를 냈던 운용부문이 흑자로 돌아섰다.
박해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11일 NH투자증권 목표주가를 기존 1만1천 원에서 1만3천 원으로 높였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로 제시했다.
10일 NH투자증권 주가는 996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박 연구원은 "금리 변동성이 완화되었고 거래대금 감소세가 둔화돼 3분기부터 NH투자증권의 실적 반등이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그동안 저평가됐던 주가는 정상화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2분기 약 700억 원 규모의 손실이 발생했던 NH투자증권의 채권운용부문은 7월 들어 금리가 하락하는 데 따라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부동산PF 및 해외 대체투자 관련 위험 노출이 경쟁사 대비 적은 점도 긍정적 요소로 꼽혔다.
NH투자증권의 채무보증 잔고(부동산 대출을 포함)는 3조 원에 미치지 못하며 별도기준 6월 말 자기자본은 6조8천억 원이다.
자기자본 대비 채무보증 잔고는 44%로 경쟁사 대비로는 낮은 편에 해당한다.
NH투자증권은 2022년에 영업이익 731억 원, 순이익 523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영업이익은 44.50%, 순이익은 44.83% 감소하는 것이다. 박안나 기자
7월 들어 금리 상승세가 주춤하면서 2분기 적자를 냈던 운용부문이 흑자로 돌아섰다.
▲ NH투자증권이 3분기부터 실적 반등을 해낼 것으로 전망됐다.
박해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11일 NH투자증권 목표주가를 기존 1만1천 원에서 1만3천 원으로 높였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로 제시했다.
10일 NH투자증권 주가는 996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박 연구원은 "금리 변동성이 완화되었고 거래대금 감소세가 둔화돼 3분기부터 NH투자증권의 실적 반등이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그동안 저평가됐던 주가는 정상화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2분기 약 700억 원 규모의 손실이 발생했던 NH투자증권의 채권운용부문은 7월 들어 금리가 하락하는 데 따라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부동산PF 및 해외 대체투자 관련 위험 노출이 경쟁사 대비 적은 점도 긍정적 요소로 꼽혔다.
NH투자증권의 채무보증 잔고(부동산 대출을 포함)는 3조 원에 미치지 못하며 별도기준 6월 말 자기자본은 6조8천억 원이다.
자기자본 대비 채무보증 잔고는 44%로 경쟁사 대비로는 낮은 편에 해당한다.
NH투자증권은 2022년에 영업이익 731억 원, 순이익 523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영업이익은 44.50%, 순이익은 44.83% 감소하는 것이다. 박안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