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고용노동부가 주 52시간 근무제 완화 등을 포함한 노동시장 개혁 방안을 내놨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2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주 52시간 근무제도 개편, 임금체계 개편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노동시장 개혁 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의 핵심은 주 52시간 근무제도의 기준을 완화하는 것이다. 이 방안에 따르면 노사는 합의를 통해 현재 주 12시간으로 정해져 있는 연장근로 가능 시간을 월 48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장관은 “해외 주요 나라들의 정책을 보면 주 단위로 근로시간을 관리하는 방식은 찾아보기 어렵다”며 “근로시간이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현장의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한 달의 추가근로시간을 짧은 기간에 몰아넣게 되면 노동자의 건강 등을 해칠 우려가 크기 때문에 ‘11시간 연속 휴식권 보장’등의 조치를 병행하기로 했다.
고용노동부는 호봉제 등 연공성 임금체계도 직무 중심, 성과 중심 임금체계로 개편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 방침을 실현하기 위해 고용노동부는 직무별 임금정보시스템 구축 등의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노동시장 개혁을 완수하기 위해 7월 안으로 노동시장 전문가들로 구성된 ‘미래 노동시장 연구회’를 운영할 계획을 세웠다.
이 장관은 “노동시장 개혁을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 부분부터 손대야 한다”며 “노동시간, 임금 관련 부분은 노동시장의 핵심 요소이면서 어느정도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돼 있기 때문에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윤휘종 기자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2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주 52시간 근무제도 개편, 임금체계 개편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노동시장 개혁 방안을 발표했다.

▲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이 방안의 핵심은 주 52시간 근무제도의 기준을 완화하는 것이다. 이 방안에 따르면 노사는 합의를 통해 현재 주 12시간으로 정해져 있는 연장근로 가능 시간을 월 48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장관은 “해외 주요 나라들의 정책을 보면 주 단위로 근로시간을 관리하는 방식은 찾아보기 어렵다”며 “근로시간이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현장의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한 달의 추가근로시간을 짧은 기간에 몰아넣게 되면 노동자의 건강 등을 해칠 우려가 크기 때문에 ‘11시간 연속 휴식권 보장’등의 조치를 병행하기로 했다.
고용노동부는 호봉제 등 연공성 임금체계도 직무 중심, 성과 중심 임금체계로 개편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 방침을 실현하기 위해 고용노동부는 직무별 임금정보시스템 구축 등의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노동시장 개혁을 완수하기 위해 7월 안으로 노동시장 전문가들로 구성된 ‘미래 노동시장 연구회’를 운영할 계획을 세웠다.
이 장관은 “노동시장 개혁을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 부분부터 손대야 한다”며 “노동시간, 임금 관련 부분은 노동시장의 핵심 요소이면서 어느정도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돼 있기 때문에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윤휘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