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이 금융위원회에 사의를 밝혔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 회장은 최근 금융위원회에 산업은행 회장에서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전했다.
이 회장은 임기가 2023년 9월까지 1년 이상 남은 상황에서 새 정부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스스로 물러나는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 회장은 대선 기간 윤석열 20대 대통령 당선인의 주요 공약인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에 반대의견을 내면서 새 정부와 갈등을 예고했다.
대선 이후에는 자회사인 대우조선해양 사장 인사를 놓고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문재인정부 임기 말 알박기 인사’ 의혹을 제기하면서 정치권에서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이 회장은 대표적 친 문재인정부 성향의 경제학자로 평가된다.
김대중정부에서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대통령자문위원회 정책기획위원 등으로 활동했고 노무현정부에서는 금융감독위원회 부위원장 겸 증권선물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이후 한국금융연구원장, 한림대학교 재무금융학과 객원교수, 동국대학교 경영대학 초빙교수 등을 거쳐 2017년 9월 산업은행 회장에 올랐다. 2020년 9월 산업은행 역사상 26년 만에 연임에 성공했다. 이한재 기자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 회장은 최근 금융위원회에 산업은행 회장에서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전했다.

▲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
이 회장은 임기가 2023년 9월까지 1년 이상 남은 상황에서 새 정부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스스로 물러나는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 회장은 대선 기간 윤석열 20대 대통령 당선인의 주요 공약인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에 반대의견을 내면서 새 정부와 갈등을 예고했다.
대선 이후에는 자회사인 대우조선해양 사장 인사를 놓고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문재인정부 임기 말 알박기 인사’ 의혹을 제기하면서 정치권에서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이 회장은 대표적 친 문재인정부 성향의 경제학자로 평가된다.
김대중정부에서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대통령자문위원회 정책기획위원 등으로 활동했고 노무현정부에서는 금융감독위원회 부위원장 겸 증권선물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이후 한국금융연구원장, 한림대학교 재무금융학과 객원교수, 동국대학교 경영대학 초빙교수 등을 거쳐 2017년 9월 산업은행 회장에 올랐다. 2020년 9월 산업은행 역사상 26년 만에 연임에 성공했다.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