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중국에서 1분기에 수입한 반도체 물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정부 주도로 진행되는 반도체 자급체제 구축 목표에 갈수록 가까워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1분기 반도체 수입량 9.6% 감소, 자급체제 구축 목표에 한발 더

▲ 반도체 이미지.


14일 중국 현지 매체 남화조보(난화짜오바오)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1분기 반도체 수입량이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9.6% 줄었다고 밝혔다.
 
2021년 1분기 반도체 수입량이 2020년 같은 기간보다 33.6% 늘었던 것과 비교하면 수입량이 크게 감소한 것이다.

지난 2년 동안 중국 반도체 연간 수입량 증가율은 25% 안팎을 유지했으며 2021년 3월에 33.6%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올해 초부터 중국이 해외에서 수입하는 반도체 규모가 감소세로 전환한 것이다.

남화조보는 “당국이 앞서 발표한 1~2월 수입량도 이미 2021년 같은 기간보다 4.6% 감소해 2020년 초반 이후 처음으로 줄어들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세계 최대 반도체 수입국이지만 그동안 정부 주도로 진행된 반도체 자급체제 구축에 성과를 내 해외 의존도를 낮추면서 수입량이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 정부는 2025년까지 현지 반도체공장 규모를 확대해 반도체 자급률 70%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현지 반도체 생산을 위한 반도체장비 수입 규모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에 따르면 2021년 중국 반도체장비 수입액은 296억2천만 달러로 2020년보다 58% 늘었고 전 세계 시장규모에서 28.9% 비중을 차지했다.

글로벌 반도체장비 시장에서 2년 연속 가장 큰 시장 규모를 유지한 것이다.

중국에 공급된 한국 반도체장비 판매액은 249억8천만 달러로 2020년보다 55% 늘었다.

1분기 중국 반도체 수입량이 줄어든 반면에 수입액은 평균 가격이 1년 전보다 26% 늘어난 영향을 받아 증가했다. 

중국기업은 1분기 반도체를 수입하는 데 1072억 달러를 지출한 것으로 분석됐다. 2021년 같은 기간보다 14.6% 늘어난 것이다.

전 세계 반도체 공급난이 심각해지면서 가격이 오른 영향으로 보인다. 

남화조보는 “우크라이나 사태와 중국 코로나19 재확산 등 영향을 받아 추후 중국 반도체 산업은 다시 여러 압박을 받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노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