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신한은행이 신용평가모형의 원활한 활용을 위해 인공지능 플랫폼에 머신러닝을 장착했다.
신한은행은 빠르게 변하는 금융환경 속에서 신용평가모형을 적시에 활용하기 위해 인공지능 플랫폼인 SACP(Shinhan AI Core Platform)에 자기학습 프로세스를 적용했다고 12일 밝혔다.
SACP는 앞으로 최신 데이터가 자동 반영된 데이터 레이크(데이터 저장소)를 활용해 주기적으로 알고리즘 자기 학습을 진행한다. 학습한 내용은 여신심사 및 운영전략 등 각종 은행 시스템에 적용된다.
데이터 저장소에는 재무, 금융거래정보 등 전통적 데이터뿐 아니라 국민연금 정보, 감사 및 공시정보와 같은 대내외 대안정보도 포함된다.
신한은행은 자기학습 프로세스를 통해 모형 재개발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추고 신용평가모형을 계속 최신 상태로 유지해 금융환경 및 산업구조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번 자기학습 프로세스 이행을 통해 다양한 대안정보를 발굴하고 전략적 신용평가모형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할 것이다”며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한 신용평가 혁신을 통해 맞춤형 고객 서비스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차화영 기자
신한은행은 빠르게 변하는 금융환경 속에서 신용평가모형을 적시에 활용하기 위해 인공지능 플랫폼인 SACP(Shinhan AI Core Platform)에 자기학습 프로세스를 적용했다고 12일 밝혔다.

▲ 신한은행은 인공지능 플랫폼인 SACP(Shinhan AI Core Platform)에 자기학습 프로세스를 적용했다고 12일 밝혔다. <신한은행>
SACP는 앞으로 최신 데이터가 자동 반영된 데이터 레이크(데이터 저장소)를 활용해 주기적으로 알고리즘 자기 학습을 진행한다. 학습한 내용은 여신심사 및 운영전략 등 각종 은행 시스템에 적용된다.
데이터 저장소에는 재무, 금융거래정보 등 전통적 데이터뿐 아니라 국민연금 정보, 감사 및 공시정보와 같은 대내외 대안정보도 포함된다.
신한은행은 자기학습 프로세스를 통해 모형 재개발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추고 신용평가모형을 계속 최신 상태로 유지해 금융환경 및 산업구조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번 자기학습 프로세스 이행을 통해 다양한 대안정보를 발굴하고 전략적 신용평가모형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할 것이다”며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한 신용평가 혁신을 통해 맞춤형 고객 서비스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