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투어가 면세점사업에 발목을 잡힐 수 있다.
하나투어는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면세점사업을 키우고 있는데 시내면세점 경쟁격화로 면세점사업에서 수익을 내기 어려울 수도 있다.
![]() |
||
▲ 박상환 하나투어 회장. |
정부는 올해 안에 서울 시내면세점 4곳을 추가로 허용하기로 했다. 지난해 사업자 3곳이 추가된 것까지 감안하면 서울 시내면세점은 모두 13개로 늘어나게 된다.
하나투어의 자회사인 SM면세점은 지난해 11월 인천공항점을 연 데 이어 올해 3월29일에 인사동점을 완전개장했다.
업계 관계자는 “공항면세점은 원래 임대료 부담이 커 수익성이 좋지 못하다”며 “SM면세점 인사동점의 경우 제대로 자리잡기도 전에 경쟁업체가 늘면서 수익성에 대한 리스크가 커졌다”고 말했다.
하나투어는 면세점사업을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외국인 단체관광객 유치에도 도움을 받을 것으로 기대했지만 이 전략에 차질이 생긴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하나투어는 여행사업에서 아웃바운드(국내 여행객의 해외여행)가 90%이상을 차지해 중국 인바운드(외국인들의 국내여행) 비중은 낮은 편”며 “SM면세점은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3대 명품없이 개장한 데다 신규 사업자이기 때문에 낮은 인지도로 중국인 관광객 유치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면세점은 매출의 약 57%를 중국인 관광객에 의존하고 있다.
하나투어의 면세점사업은 올해 1분기에도 하나투어의 전체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쳤다.
하나투어는 올해 1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1490억 원, 영업이익 96억 원을 냈다. 지난해 1분기보다 매출은 26.1%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43% 급감했다.
황 연구원은 “하나투어 본사는 송출객이 늘면서 양호한 실적을 낸 것으로 추정된다”며 “하지만 SM면세점의 적자폭이 커지면서 연결실적 수익성이 악화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백설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