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해 1월부터 8월 말까지 전국 다세대·연립, 단속·다가구 주택 거래에서 증여가 차지하는 비중이 13%로 집계됐다. <스테이션3>
6일 부동산 플랫폼 다방을 운영하는 스테이션3이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1년 8월 말까지 아파트가 아닌 다세대·연립, 단독·다가구 주택 증여건수는 4만1041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같은 기간(3만7715건)과 비교해 8.8% 증가한 수치로 한국부동산원이 빌라와 단독·다가구 매매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3년 이후 최대치를 보였다.
매매와 판결, 교환, 분양권 전매 등을 포함한 전체 빌라, 단독·다가구 주택 거래건수(31만2392건)에서 증여가 차지한 비중은 13.1%로 나타났다. 빌라와 단독·다가구주택 거래에서 증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부터 3년째 13%대를 보이고 있다.
서울의 비아파트 증여도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8월 말까지 서울 빌라와 단독·다가구 주택 거래에서 증여비중은 전체의 11.2%로 집계됐다. 2019년(10%), 2020년(10.9%)에 이어 올해도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스테이션3는 전국 아파트 외 주택 거래에서 증여 비중이 높아지는 것은 집주인들이 세 부담을 더는 데 보유나 매매보다 증여가 유리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최근 재개발사업이 활성화되면서 앞으로 집값이 더 오를 것이란 기대감도 증여가 늘어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스테이션3 관계자는 “다주택자를 겨냥한 강도 높은 세금 인상대책과 집값 상승 기대감이 맞물리면서 아파트뿐 아니라 빌라와 단독·다가구 증여비중도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