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사들이 올해 1분기 원유재고의 평가이익에 따라 좋은 실적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정유사들의 수익성지표인 정제마진도 하반기부터 반등할 것으로 예상됐다.
노우호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22일 “국내 정유사들은 올해 1분기부터 이익 개선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연초에는 국제유가 반등에 따른 재고평가이익, 연중에는 주요 제품들의 수요 개선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에쓰오일은 1분기 연결 영업이익 4448억 원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직전 분기보다 445% 급증하는 것이다.
SK이노베이션은 1분기 연결 영업이익 2876억 원을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다섯 분기 만에 영업흑자를 내는 것이다.
원유재고의 평가이익이 정제마진 부진을 상쇄하며 두 상장 정유사의 호실적을 이끌 것으로 파악됐다.
에쓰오일과 SK이노베이션은 1분기 재고평가이익을 각각 2216억 원, 4392억 원씩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노 연구원은 올해 정제마진 전망치를 배럴당 6.5달러로 잡았다.
정유사들의 정제마진 손익분기점은 대체로 배럴당 4~5달러 수준으로 파악된다. 현재 정제마진은 배럴당 2달러를 밑돌고 있다.
노 연구원은 “코로나19로 억눌렸던 정유제품 수요가 다시 늘고 있다”며 “정유사들은 하반기부터 주력제품의 수요 개선효과를 볼 것이다”고 내다봤다.
에쓰오일은 2021년 연결 매출 21조6177억 원, 영업이익 1조6685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와 비교해 매출이 28.4% 늘고 영업손실 1조992억 원에서 흑자로 전환하는 것이다.
SK이노베이션은 올해 연결 매출 41조966억 원, 영업이익 1조5128억 원을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이 20.3% 증가하고 영업손실 2조5687억 원에서 흑자로 돌아서는 것이다.
노 연구원은 긍정적 실적 전망을 반영해 정유업종 투자의견을 비중확대(Overweight)로, 에쓰오일과 SK이노베이션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각각 유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
정유사들의 수익성지표인 정제마진도 하반기부터 반등할 것으로 예상됐다.

▲ 김준 SK이노베이션 대표이사 총괄사장(왼쪽), 후세인 알 카타니 에쓰오일 CEO.
노우호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22일 “국내 정유사들은 올해 1분기부터 이익 개선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연초에는 국제유가 반등에 따른 재고평가이익, 연중에는 주요 제품들의 수요 개선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에쓰오일은 1분기 연결 영업이익 4448억 원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직전 분기보다 445% 급증하는 것이다.
SK이노베이션은 1분기 연결 영업이익 2876억 원을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다섯 분기 만에 영업흑자를 내는 것이다.
원유재고의 평가이익이 정제마진 부진을 상쇄하며 두 상장 정유사의 호실적을 이끌 것으로 파악됐다.
에쓰오일과 SK이노베이션은 1분기 재고평가이익을 각각 2216억 원, 4392억 원씩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노 연구원은 올해 정제마진 전망치를 배럴당 6.5달러로 잡았다.
정유사들의 정제마진 손익분기점은 대체로 배럴당 4~5달러 수준으로 파악된다. 현재 정제마진은 배럴당 2달러를 밑돌고 있다.
노 연구원은 “코로나19로 억눌렸던 정유제품 수요가 다시 늘고 있다”며 “정유사들은 하반기부터 주력제품의 수요 개선효과를 볼 것이다”고 내다봤다.
에쓰오일은 2021년 연결 매출 21조6177억 원, 영업이익 1조6685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와 비교해 매출이 28.4% 늘고 영업손실 1조992억 원에서 흑자로 전환하는 것이다.
SK이노베이션은 올해 연결 매출 41조966억 원, 영업이익 1조5128억 원을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이 20.3% 증가하고 영업손실 2조5687억 원에서 흑자로 돌아서는 것이다.
노 연구원은 긍정적 실적 전망을 반영해 정유업종 투자의견을 비중확대(Overweight)로, 에쓰오일과 SK이노베이션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각각 유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