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코로나19 여파로 2008년 금융위기 사태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을 보일 것이라고 외국언론이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21일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세계 경제 위축과 경제활동 부진이 한국의 국내총생산 감소를 이끌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
 
미국언론 "1분기 한국 GDP -1.5% 예상, 2008년 금융위기 뒤 최저"

▲ 한국은행 로고.


뉴욕타임스는 경제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로이터 설문조사를 인용해 한국 1분기 국내총생산이 직전 분기와 비교해 1.5% 줄어들었을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 국내총생산이 전분기 대비 감소한 것은 미국과 중국 무역분쟁의 영향이 본격화했던 2019년 1분기 이후 처음이다.

감소폭은 글로벌 금융위기 사태가 벌어졌던 2008년 4분기 이후 가장 큰 수준이다.

싱가포르개발은행(DBS) 연구원은 한국경제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내수 경제활동 위축뿐 아니라 수출 감소에도 큰 타격을 받고 있다고 바라봤다.

1일부터 20일까지 한국 수출실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수출은 17%, 미국 수출은 17.5%, 유럽 수출은 32.6% 감소했다.

뉴욕타임스는 로이터 설문조사를 인용해 올해 한국 연간 경제성장률이 -0.1%에 그치며 IMF사태 이후 약 20년만에 가장 침체된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은행은 23일 한국 1분기 경제성장률을 발표한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