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새 사옥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건립에 한 발짝 더 다가섰다. 이에 따라 최근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삼성동을 비롯한 강남권의 부동산이 다시 한 번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26일 글로벌비즈니스센터의 건축허가서를 교부했다고 밝혔다. 2월13일 건축허가서가 접수된지 9개월여 만이다.
서울시는 글로벌비즈니스센터 건립 사업의 마지막 쟁점이던 현대차그룹과 국방부의 협의가 ‘단계적 작전 제한사항 해소’로 합의됨에 따라 건축허가서를 교부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국방부는 현대차그룹의 새 사옥 건설을 놓고 인근 공군부대의 작전에 제한을 받는다고 반대해왔다.
초고층건물인 탓에 레이더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고 항로정보를 제공하는 군시설도 방해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현대차는 국방부의 레이더 교체비용 요구 등을 수용하기로 했으며 건축 과정에서 건물 높이가 260m를 초과하기 전에 합의사항을 이행하기로 했다.
현대차가 합의사항을 이행하지 않는다면 서울시는 현대차에 공사중지를 명령할 수 있다는 조건이 따라붙었다.
서울시가 건축허가서를 교부함에 따라 앞으로 현대차그룹은 굴토 및 구조심의와 안전관리계획 승인 등의 절차를 거쳐 새 사옥 착공에 들어갈 수 있게 됐다.
서울시는 “경제를 활성화 하기 위해 대규모 일자리 창출 등의 경제효과가 큰 글로벌비즈니스센터 신축 사업이 곧 진행될 수 있도록 남은 절차도 신속히 마무리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작전 제한사항 해소를 위한 현대차 방안도 확정될 것”이라고 전했다.
현대차그룹은 서울 강남 영동대로 512 인근의 면적 7만4천148㎡ 대지에 새 사옥을 짓게 된다. 건축면적은 3만4503.41㎡, 건폐율은 46.53%다.
지하 7층에서 지상 105층 규모로 지어지며 높이는 569m로 예정돼 있다. 초고층 타워동의 104층과 105층은 전망대로 쓰인다. 착공 예정시기는 2020년 하반기이며 준공 예정시기는 2026년 하반기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
서울시는 26일 글로벌비즈니스센터의 건축허가서를 교부했다고 밝혔다. 2월13일 건축허가서가 접수된지 9개월여 만이다.

▲ 현대차그룹의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조감도.
서울시는 글로벌비즈니스센터 건립 사업의 마지막 쟁점이던 현대차그룹과 국방부의 협의가 ‘단계적 작전 제한사항 해소’로 합의됨에 따라 건축허가서를 교부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국방부는 현대차그룹의 새 사옥 건설을 놓고 인근 공군부대의 작전에 제한을 받는다고 반대해왔다.
초고층건물인 탓에 레이더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고 항로정보를 제공하는 군시설도 방해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현대차는 국방부의 레이더 교체비용 요구 등을 수용하기로 했으며 건축 과정에서 건물 높이가 260m를 초과하기 전에 합의사항을 이행하기로 했다.
현대차가 합의사항을 이행하지 않는다면 서울시는 현대차에 공사중지를 명령할 수 있다는 조건이 따라붙었다.
서울시가 건축허가서를 교부함에 따라 앞으로 현대차그룹은 굴토 및 구조심의와 안전관리계획 승인 등의 절차를 거쳐 새 사옥 착공에 들어갈 수 있게 됐다.
서울시는 “경제를 활성화 하기 위해 대규모 일자리 창출 등의 경제효과가 큰 글로벌비즈니스센터 신축 사업이 곧 진행될 수 있도록 남은 절차도 신속히 마무리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작전 제한사항 해소를 위한 현대차 방안도 확정될 것”이라고 전했다.
현대차그룹은 서울 강남 영동대로 512 인근의 면적 7만4천148㎡ 대지에 새 사옥을 짓게 된다. 건축면적은 3만4503.41㎡, 건폐율은 46.53%다.
지하 7층에서 지상 105층 규모로 지어지며 높이는 569m로 예정돼 있다. 초고층 타워동의 104층과 105층은 전망대로 쓰인다. 착공 예정시기는 2020년 하반기이며 준공 예정시기는 2026년 하반기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