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장표 장하성 조국 교체 요구하는 야당 공세 거세

홍장표 청와대 경제수석(왼쪽)과 장하성 정책실장.

청와대 참모진의 교체를 요구하는 야당의 공세가 거세다. 자유한국당은 홍장표 경제수석, 바른미래당은 장하성 정책실장, 민주평화당은 조국 민정수석을 향해 날을 세우고 있다.

지방선거 이후에 개각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데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 참모진도 개편할지 주목된다.

5일 정치권에 따르면 청와대 참모진의 교체를 요구하는 야당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최근 거시지표 부진과 최저임금 논란 등으로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이 뭇매를 맞고 있어 경제참모들을 향한 공세가 거세다.

청와대와 정부 경제담당자들 사이에서 서로 다른 의견이 나오면서 혼란을 키우고 있어 참모진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또 지방선거 이후에 상반기 경제 성적표가 어느 정도 윤곽이 나오면 그 결과에 따라 책임을 져야 하는 사람이 나올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1분기까지는 다소 부정적 지표가 나오더라도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쪽에 힘이 실렸다. 그러나 2분기 지표까지 나오면 더 이상 신중론이 동의를 얻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자유한국당은 4일 서민경제 2배 만들기 대책회의에서 홍장표 청와대 경제수석을 향해 공세를 집중했다.

정진석 자유한국당 경제파탄대책위원장은 홍 수석이 3일 긴급 기자간담회를 통해 최저임금 인상 효과를 옹호하는 통계를 설명한 것을 놓고 “현실을 왜곡해 국민에게 설명하는 홍 수석은 대체 어느 별 사람인가”라며 비판했다.

김종석 자유한국당 중앙선거대책위원장은 “얄팍한 말장난으로 정책의 성공을 주장하는 것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것”이라며 “잘못된 정책과 왜곡된 통계로 국민과 대통령을 오도한 경제수석은 책임지고 사퇴하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홍 수석은 경제학자 출신으로 문재인 정부가 채택하고 있는 소득주도 성장정책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이 때문에 정부의 경제정책을 비판하는 이들이 가장 먼저 과녁으로 삼는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도 4월13일 문재인 대통령과 영수회담에서 “홍 수석은 경제파탄에 가장 큰 책임이 있고 청년 실업에 책임이 있다”며 홍 수석의 해임을 요구했다. 

경제정책의 실질적 컨트롤타워로 여겨지고 있는 장하성 정책실장과 관련해서는 포스코 회장 인사에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김철근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4일 “인천 한 호텔에서 포스코 전 회장들이 모인 가운데 장하성 실장의 뜻이라며 특정 인사를 포스코 회장으로 임명할 수 있도록 전임 회장들의 협조를 요청했다는 제보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 대변인은 “권력의 문고리들이 국정을 농락하고 있는 것”이라며 “장 실장을 비롯한 청와대 실세들의 부적절한 개입이 확인되면 일벌백계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자 청와대는 “명백한 허위 사실”이라며 “책임 있는 정당 대변인이 아니면 말고 식의 루머 수준 의혹을 제기한 것은 대단히 유감”이라고 즉각 반박했다.

청와대는 논평을 철회하고 사과하지 않으면 법적 대응을 하겠다고 경고했다. 포스코 역시 해명자료를 내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바른미래당은 이전부터 장 실장을 주로 겨냥해 왔다. 지상욱 바른미래당 정책위의장은 5월1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경제를 망친 것을 사과하고 장하성 실장의 거취를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장표 장하성 조국 교체 요구하는 야당 공세 거세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


하태경 바른미래당 최고위원 역시 17일 “장하성 실장은 책상물림 실장”이라며 “문 대통령은 장하성 노선을 버리고 김동연 노선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야당이 교체를 요구하는 참모진은 경제라인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조국 민정수석 역시 야당의 공격범위 안에 들어있다.

김형구 민주평화당 부대변인은 21일 논평에서 조국 수석이 드루킹 관련 내용을 뒤늦게 문 대통령에게 보고한 것과 관련해 “직무태만이며 사건 은폐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 부대변인은 또 “조국 수석의 부실검증으로 문재인 정부 인사는 만사가 됐고 개헌안 발의 특강으로 개헌을 꼬이게 만든 장본인”이라며 “조국 수석이 강단으로 돌아가는 것이 조국을 위한 길”이라고 말했다.

민주평화당은 4월 김기식 전 금융감독원장의 사퇴 이후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등과 함께 조국 수석의 사퇴를 요구했다. 민주평화당은 조 수석 사퇴만 요구한 다른 당과 달리 인사라인과 민정라인 총사퇴를 촉구하기도 했다.

조 수석 사퇴 요구가 주기적으로 나오는 가운데 최근 조국 수석이 사의를 표명했다는 말도 나돌았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는 1일 “강도 높은 사법개혁에 매진 중인 조국 수석을 흔들려는 소문이 있는지 모르겠으나 조 수석의 사의는 전혀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