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가 429조 원 규모의 2018년도 예산안을 마련했다. 지난해보다 7% 늘어난 규모다.
재정의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역할을 통해 사람 중심 지속성장경제를 뒷받침하겠다는 의도를 담았다.
![]() |
||
▲ 문재인 대통령. |
문재인 정부 정책과제를 차질없이 이행하기 위해 예산안에 첫해 소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했다. 공공·사회서비스 일자리 확대와 민간일자리 창출 지원에 재정역량을 집중하고 아동수당 신설, 기초연금 인상 등 소득주도 성장을 뒷받침하기로 했다.
정부는 재원조달을 위해 11조5천억 원의 강도높은 지출 구조조정을 실시했다. 이를 통해 경제정책 소요에 대응할 수 있는 재정여력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출 구조조정과 함께 세입기반을 확충해 재정수지와 국가채무도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재정수지는 GDP 대비 –1.6%로 올해 예산보다 0.1%포인트 개선된다. 국가채무는 708조9천억 원으로 700조 원을 넘어서지만 GDP 대비 비중은 39.6%로 올해보다 0.1%포인트 떨어진다.
분야별로는 보건·복지·노동분야에 146조2천억 원을 배정해 가장 많았다. 올해보다 12.9% 늘어난 것으로 전체 예산안의 3분의 1을 넘는 규모다. 이 가운데 민간 일자리 창출, 공공일자리 확대, 일자리 질 높이기 등 일자리 예산은 19조2천억 원을 차지했다.
복지 예산은 취약계층별 맞춤형 소득지원체계를 확충하고 주거·의료·돌봄 등 서민 생활부담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결혼·출산 친화 환경을 조성하고 양육부담을 낮춰 저출산 극복을 지원하는 한편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효율화 등 복지지출 내실화 노력을 병행하기로 했다.
일반·지방행정분야 예산은 69조6천억 원으로 10% 증가했다. 지방교부세를 5조2천억 원 증액하는 등 지방재정소요를 적극적으로 뒷받침한다. 또 민관협력 및 민간주도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기반을 조성한다.
교육분야 예산도 64조1천억 원으로 11.7% 늘었다. 교육예산은 일반·지방행정예산보다 규모는 작았지만 증가율은 더 컸다.
어린이집 누리과정 전액 국고지원, 반값등록금 수혜대상 확대, 평생·직업교육 등 교육의 희망사다리를 마련하고 기초연구 확대와 국립대학 지역거점 역할 강화 등 고등교육의 질을 높이기로 했다.
국방 예산은 43조1천억으로 6.9% 늘어났다. 2009년 이후 최고 수준의 증가율로 북핵·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킬체인,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KAMD) 조기 구축을 적극 지원한다.
반면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은 20%나 삭감된 17조7천억 원에 그쳤다. 강도높은 지출 구조조정 기조 속에 SOC 예산이 일자리 예산보다 더 적어졌다. 다만 고속도로와 철도 등 주요 교통시설의 공공성은 강화하고 재해 예방 등 안전투자는 확대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문화·체육·관광 예산도 6조3천억 원으로 8.2% 줄어들었다. 예술인 복지환경을 개선해 안정적 창작여건을 조성하되 문화 콘텐츠 장르별 직접 지원은 줄이고 유통플랫폼 등 간접지원을 활성화하는 계획을 세웠다.
연구개발 예산은 0.9% 늘어난 19조6천억 원이다. 산업·중소기업·에너지 예산은 15조9천억 원으로 0.7% 줄어들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