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더욱 좋은 조건으로 금호타이어 인수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여전히 동분서주하고 있다.
금호아시아나그룹 관계자는 13일 “박 회장은 이미 1조 원의 자금을 조달했다”며 “하지만 더 좋은 조건으로 인수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재무적투자자 외에 전략적투자자들을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 |
||
▲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뉴시스> |
재무적투자자는 인수합병 이후 경영에는 참여하지 않고 일정 수익만 얻기 위해 자금을 지원하는 투자자이고 전략적투자자는 경영에 직접 참여해 장기적으로 이득을 추구하는 투자자를 말한다.
박 회장은 재무적투자자보다 전략적투자자로부터 인수자금을 투자받는 것이 금호타이어를 인수한 뒤 안정적으로 경영하는 데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재무적투자자로부터 거액의 대출이나 인수금융을 지원받을 경우 고금리 이자를 물어야 한다. 반면 전략적투자자의 경우 사업적 제휴 등 우호적 관계가 유지되면 상대적으로 이자부담을 줄이고 사업적 측면에서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박 회장은 인수자금 가운데 70%를 재무적투자자와 전략적투자자를 통해, 30%를 국내 협력회사와 개인신용 등을 통해 조달할 것으로 애초 알려졌다.
전략적투자자로는 중국의 캠차이나가 꼽힌다. 캠차이나는 금호타이어 예비입찰에 참여했다.
박 회장은 13일 본사 사옥에 출근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전략적투자자는 금호타이어를 인수한 뒤에도 알아볼 수 있는 일”이라며 “아직 특정회사를 투자자로 얘기할 순 없지만 도와준다는 사람이 많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인수자금 조달계획이 구체적으로 밝혀지기 전까지는 인수자금의 조달 가능성과 방식을 놓고 여러 말이 계속 나올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박 회장의 주머니 사정이 넉넉지 않기 때문이다. 박 회장은 2015년 특수관계인과 함께 1301억 원을 출자해 금호홀딩스(당시 금호기업)를 설립한 뒤 투자와 대출을 받아 금호산업을 인수했다.
또 박 회장이 보유한 우선매수청구권에 '제 3자 양도 및 지정 금지' 조건이 붙어있어 개인자격으로 자금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도 박 회장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박 회장이 인수할 금호타이어 지분의 시가는 5200억 원 수준으로 이를 담보로 대출을 받아도 2600억 원가량에 불과할 것이라는 지적도 있어 자금조달능력을 놓고 의문이 끊이지 않고 있다.
금호타이어 채권단은 2월 중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중국 더블스타와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하고 박 회장에게 우선매수청구권 행사여부를 묻는다. 그 뒤 박 회장은 한 달 안에 행사여부를 대답해야 하며 우선매수청구권을 행사하기로 결정하면 45일 안에 계약금을 내고 자금조달 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비즈니스포스트 박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