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코리아 끊이지 않는 배터리 결함 문제에도 '눈 가리고 아웅' 대책만, 소비자 "강제 리콜해야"

▲ 테슬라코리아가 ‘BMS_a079’ 배터리 기술 결함에 대한 무상보증 기한 연장 대책을 발표했지만, 소비자 사이에서는 근본적 해결책이 아니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 테슬라코리아가 최근 잇따르고 있는 ‘BMS_a079’ 배터리 기술 결함에 대해 무상보증 연장이라는 대책을 발표했지만, 오히려 소비자 불만은 더 커지고 있다.

그동안 논란이 됐던 재생 배터리 교체 문제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을 내놓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테슬라코리아가 결함의 원인을 명확히 밝히지 않는 것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소비자 사이에서는 ‘눈 가리고 아웅 식' 대책이라는 비판과 함께 정부가 강제 시정조치(리콜)에 나서야 한다는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31일 관련 업계 취재를 종합하면 테슬라코리아가 BMS_a079 배터리 기술 결함에 대한 근본적 대책을 내놓지 않으면 국내 소비자 불만을 잠재우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최근 테슬라 차량들에서 ‘BMS_a079’ 배터리 관련 결함이 잇달아 발생하고 있다. 이 코드는 배터리가 비정상적 고전압 충전으로 최대 충전 레벨을 50%로 제한하는 상태를 감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1회 충전 주행 가능 거리가 50㎞ 정도로 줄거나, 운행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견됐다.

테슬라코리아는 지난 30일 ‘배터리 안심 케어 프로그램’이라는 이름으로 2023년 9월 이전 인도된 모델3·모델Y와 올해 6월 이전 인도된 모델S·모델X의 배터리 지원안을 밝혔다.

배터리 무상 보증 기간을 추가로 2년 또는 4만㎞ 연장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모델Y 후륜구동(RWD) 모델 기준으로 무상 보증 기간이 기존 8년 또는 16만㎞에서 10년 또는 20만㎞로 변경된다.

하지만 소비자 사이에서는 테슬라코리아가 결함에 대한 적극적 시정 조치가 아니라, 문제를 회피하고 시간을 끄는 것에 불과한 대책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테슬라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 A씨는 “지금도 시한 폭탄을 안고 달리는 기분”이라며 “보증 연장 기간까지 버티다, 또 다시 결함이 발생하면 그때는 입 닫겠다는 소리 아니냐”고 주장했다.
 
테슬라코리아 끊이지 않는 배터리 결함 문제에도 '눈 가리고 아웅' 대책만, 소비자 "강제 리콜해야"

▲ 테슬라 중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모델Y 주니퍼'. <테슬라코리아>


소비자가 문제를 제기하는 부분은 결함을 발생하면 신품 배터리가 아닐 재생 배터리로 교체해주고, 재생 배터리로 교체해도 같은 결함이 계속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단순히 무상 보증을 연장하는 것은 근본적 해결책이 아니라는 점이다. 

테슬라코리아는 이번 대책을 발표하면서 신품 배터리로 교체하겠다는 입장은 밝히지 않은 채, 배터리 재고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만 밝혔다.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 B씨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지금 테슬라 재생 배터리에 대한 신뢰가 있냐”며 “결함 있는 차량에 결함 있는 재생 배터리로 바꿔주는 것이 올바른 대응이냐”고 지적했다.

춘천에 거주하는 테슬라 차주는 BMS_a079 결함으로 배터리를 3번이나 교체했다. 지난 5월 재생 배터리로 교체한 지 10일 만에 또 결함이 발생했고, 6월 다시 재생 배터리로 교체한 후 20일 만에 또다시 같은 결함이 생겼다. 7월 신품 배터리로 교체 받은 후에는 아직까지 문제 없다고 설명했다.

소비자 신뢰를 회복하려면 결함의 원인을 명확히 설명하는 점이 먼저인데, 이에 대한 아무런 입장 표명이 없다는 것도 많은 비판을 받는 부분이다.

BMS_a079 결함 문제를 이미 겪은 테슬라 차주는 물론이고, 아직 문제가 발생하지 않은 차주, 테슬라 차량을 구매 예정인 소비자들까지 입을 모아 강제 시정조치에 나설 것을 요구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강제 시정조치(리콜)를 위한 본조사에 나서기 위해서는 예비 단계 성격인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의 조사 결과가 나와야 한다. 자동차안전연구원은 관련 결함 조사를 아직 끝내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대통령실 국민동의 청원에는 이번 문제와 관련해 국토교통부의 강제 시정조치를 요구하는 글이 올라왔다. 지난 24일 시작된 청원에 31일 오후 4시 기준 모두 1만2988명(26%)이 동의했다. 청원접수를 위해선 11월23일까지 5만 명의 동의가 필요하다.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 C씨는 “소비자에게 아무런 잘못이 없는 결함이 발생하고 있는데, 리콜로 해결해주는 것이 상식적”이라며 “리콜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무상 보증 기간을 2년 연장할 것이 아니라, BMS_a079 관련 결함만큼은 기한 없이 교체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인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