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재명 대통령이 젠슨 황 엔비디아 CEO(최고경영자)를 만나 국내 인공지능(AI) 인프라를 비롯한 AI 생태계 전반의 혁신 방안을 두고 의견을 나눴다.
이 대통령은 31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린 경북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황 CEO를 만나 "대한민국의 목표는 아태 지역의 AI 수도로 거듭나는 것"이라며 "엔비디아와 인프라·기술·투자가 선순환하는 AI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재명 젠슨 황 만나 엔비디아 GPU 26만장 확보, "아태 AI 수도로 거듭날 것"]() 
이 대통령이 황 CEO를 만난 것은 지난 8월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방문한 워싱턴 D.C.에서의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행사 이후 두 달여 만이다.
이날 접견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이해진 네이버 의장도 함께했다.
특히 이번 접견을 계기로 양측은 엔비디아의 최신 그래픽 처리장치(GPU)를 26만장 이상 도입하는 방안을 포함, AI 컴퓨팅 인프라를 대폭 확대하는 방안이 논의됐다고 대통령실이 밝혔다.
또 삼성·SK·현대차·네이버 역시 '피지컬 AI'를 중심으로 엔비디아 측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피지컬 AI는 로봇, 자율주행차 등 현실 세계에서 인간처럼 시각과 언어를 이해하고 물리적인 행동을 수행하는 AI다. 특히 현대차는 엔비디아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국내 피지컬 AI 역량 고도화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기술 개발에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 대통령은 "엔비디아가 AI 혁신의 속도를 담당하고 있다면, 한국은 이 속도를 잘 활용해 혁신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라며 "(양측의 협력이) 한국을 넘어 국제사회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조성근 기자
												         
													        
															
															
														
																
															
															
																													
															
															
															
														
															
															
															
														
											             
                        
                    이 대통령은 31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린 경북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황 CEO를 만나 "대한민국의 목표는 아태 지역의 AI 수도로 거듭나는 것"이라며 "엔비디아와 인프라·기술·투자가 선순환하는 AI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이재명 대통령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31일 APEC 정상회의장인 경북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면담 전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대통령이 황 CEO를 만난 것은 지난 8월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방문한 워싱턴 D.C.에서의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행사 이후 두 달여 만이다.
이날 접견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이해진 네이버 의장도 함께했다.
특히 이번 접견을 계기로 양측은 엔비디아의 최신 그래픽 처리장치(GPU)를 26만장 이상 도입하는 방안을 포함, AI 컴퓨팅 인프라를 대폭 확대하는 방안이 논의됐다고 대통령실이 밝혔다.
또 삼성·SK·현대차·네이버 역시 '피지컬 AI'를 중심으로 엔비디아 측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피지컬 AI는 로봇, 자율주행차 등 현실 세계에서 인간처럼 시각과 언어를 이해하고 물리적인 행동을 수행하는 AI다. 특히 현대차는 엔비디아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국내 피지컬 AI 역량 고도화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기술 개발에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 대통령은 "엔비디아가 AI 혁신의 속도를 담당하고 있다면, 한국은 이 속도를 잘 활용해 혁신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라며 "(양측의 협력이) 한국을 넘어 국제사회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조성근 기자

 
                                 
                                 
                                 
                                 
                                 
                                ![[미디어토마토] 서울시장 가상 1대1 대결, 오세훈 46.8% VS 박주민 42.0%](https://businesspost.co.kr/news/photo/202510/20251031111357_4281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