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가 미국 연방정부 일시적 업무정지(셧다운) 영향을 반영해 연내 기준금리를 더 내릴 것으로 전망됐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2일 “미국 정부의 셧다운이 현실화된 만큼 이후 전개 양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셧다운에 따른 성장 둔화 가능성과 최근 고용지표 부진을 고려할 때 연준의 연내 추가 금리 인하 전망은 여전히 유효해 보인다”고 말했다.
현지시각으로 1일 오전 0시1분부터 미국 연방정부 업무가 멈추는 셧다운이 시작됐다. 미국 의회가 2025회계연도가 끝나는 9월30일까지 2026회계연도 예산안에 합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셧다운 사태가 현실화 된 것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집권 1기 때였던 2018년 12월 뒤 약 7년 만이다.
셧다운 사태는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결정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원은 “셧다운 여파로 경제지표 공백과 미국 연준의 정책 판단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다”며 “과거 사례에서도 달러와 국채금리가 하락하면서 경기 둔화 우려를 반영한 바 있다”고 말했다.
금융시장 관점에서는 셧다운 기간에 주목해야 한다고 판단됐다. 단기적 상황에 그칠지, 장기화되는지에 따라 금융시장에 주는 영향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김 연구원은 “과거 사례에서 셧다운은 대체로 단기 요인으로 마무리돼 금융시장 충격은 제한적이었다”며 “장기화되면 성장 둔화한 우려를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2일 “미국 정부의 셧다운이 현실화된 만큼 이후 전개 양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셧다운에 따른 성장 둔화 가능성과 최근 고용지표 부진을 고려할 때 연준의 연내 추가 금리 인하 전망은 여전히 유효해 보인다”고 말했다.

▲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이 미국 연방준비제도 기준금리 결정 변수가 될 것으로 분석됐다. 사진은 미국 연방의회 의사당. <연합뉴스>
현지시각으로 1일 오전 0시1분부터 미국 연방정부 업무가 멈추는 셧다운이 시작됐다. 미국 의회가 2025회계연도가 끝나는 9월30일까지 2026회계연도 예산안에 합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셧다운 사태가 현실화 된 것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집권 1기 때였던 2018년 12월 뒤 약 7년 만이다.
셧다운 사태는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결정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원은 “셧다운 여파로 경제지표 공백과 미국 연준의 정책 판단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다”며 “과거 사례에서도 달러와 국채금리가 하락하면서 경기 둔화 우려를 반영한 바 있다”고 말했다.
금융시장 관점에서는 셧다운 기간에 주목해야 한다고 판단됐다. 단기적 상황에 그칠지, 장기화되는지에 따라 금융시장에 주는 영향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김 연구원은 “과거 사례에서 셧다운은 대체로 단기 요인으로 마무리돼 금융시장 충격은 제한적이었다”며 “장기화되면 성장 둔화한 우려를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