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LG화학이 유럽 최대 플라스틱 전시회에서 다양한 혁신소재 설루션을 선보인다.

LG화학은 8일부터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열리는 K2025에 참가해 ‘화학이 이끄는 변화, 세상을 움직이는 힘(Chemistry Driven. Impact Ready)’을 주제로 고부가·친환경 소재 등을 소개한다고 1일 밝혔다.
 
LG화학 유럽 최대 플라스틱 전시회 'K2025' 참가, 혁신소재 설루션 소개

▲ LG화학이 유럽 최대 플라스틱 전시회에서 다양한 혁신소재 솔루션을 선보인다. 사진은 K2025에 참가한 LG화학의 전시부스 조감도. < LG화학 >


LG화학은 국내 화학기업 가운데 최대 규모인 286㎡(약 87평) 부스에 65여 종의 주력 제품들을 전시하고 고객과의 소통을 위한 9개의 전용 회의실과 비즈니스 라운지를 운영한다.

또한 LG화학은 주요 산업·기술별 전시 구역을 마련했다. 

모빌리티존에서는 고광택·고내열 고부가합성수지(ASA/ABS)가 적용돼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공급되고 있는 라디에이터 그릴과 리어(rear) 램프가 전시된다. 

이외에도 초고중합도 폴리염화비닐(PVC)로 내열성과 유연성이 개선된 전기차 충전용 케이블, 우수한 절연성과 난연성으로 전기차 배터리팩에 적용되는 열폭주 지연 소재 등 다양한 첨단 설루션을 제안한다.

리빙존에서는 LG화학의 무광소재(ABS)가 적용된 주방 가전제품이, 패키징존에서는 유니커블(UNIQABLE)을 비롯한 다양한 친환경 패키징 솔루션이 각각 전시된다. 

유니커블은 기존의 복합재질 포장필름과 동등한 수준의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단일 폴리에틸렌(PE) 소재로 재활용률을 높여 지속가능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차세대 혁신소재로 꼽힌다.

고기능성존은 이차전지와 전도성 플라스틱에 활용되는 탄소나노튜브(CNT), 배터리 용량과 수명을 향상시키는 고성능 바인더, 뛰어난 열차단성과 높은 단열성으로 이차전지 및 산업 전반에 활용되는 미래소재를 선보인다.

LG화학은 유럽연합(EU)에서 제정한 폐차처리규정(ELVR) 및 재활용·친환경 규제에 대응할 목적에서 자체 재활용 기술력과 친환경 원료 역량도 강조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김상민 LG화학 석유화학사업본부장은 “고부가 제품과 혁신 기술들이 실질적 사업성과와 연결되도록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