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토교통부가 공공정비 현장을 방문해 사업 활성화 의지를 강조했다.

국토부는 30일 서울 중랑구 중화5구역 공공정비사업 구역을 방문해 사업추진현황을 점검하고 주민과 관계기관, 시공사와 간담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국토부 'GS건설 시공' 서울 중화5구역 찾아 간담회, "공공정비사업 활성화"

▲ 서울 중랑구 중화5구역 공공정비사업 조감도. <국토교통부>


2021년 도입된 공공정비사업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기업의 주택·도시개발 전문성을 정비사업에 접목해 사업기간을 단축하고 주민 부담을 최소화하는 공공 주도의 시행방식이다.

올해까지 서울을 중심으로 모두 6만2천 호 규모의 후보지가 발굴됐고 이 가운데 2만4천 호는 사업시행자 지정까지 완료됐다.

중화5구역 공공정비사업은 서울 지하철 7호선 중화역과 상봉역이 인접한 입지에 지상 2층~지상 35층, 모두 세대의 주택 및 공원, 주민센터 등을 조성하는 공사다. 토지주택공사가 사업시행을 담당하고 GS건설이 시공을 맡는다.

이번 행사는 7일 발표된 ‘주택공급 확대방안(9·7 대책)’의 ‘공공정비사업 활성화 방안’ 이행을 본격화하기에 앞서 대표적 사업장을 방문해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중화5구역 공공정비사업 주민 대표는 9·7 대책의 법적상한용적률 1.3배 적용 등 도시규제 완화 및 사업 수수료 지원방안 등이 신속히 현실화 될 수 있기를 희망했다.

조민우 국토부 주택정비과장은 도시규제 완화 등을 통해 주민 평균 분담금이 2억2천만 원에서 1억9천만 원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며 관련 인허가가 신속하게 추진되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상의 GS건설 도시정비부문장은 중화5구역이 공공정비사업의 선도모델이 되도록 ‘누구나 살고 싶은 질 좋은 아파트 건설’을 약속했다.

김규철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9·7 대책 후속조치로 도시정비법 개정안이 오늘 발의된 만큼 국회와 적극 협력해 입법을 추진하고 공공정비사업을 활성화하겠다”며 “공공정비사업과 관련해 주민 접점을 적극적으로 늘리고 중장기 정책 방향도 심도 있게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