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럴링크 서동진 "일반인도 3~4년 내 '뇌 인터페이스 이식' 고민할 것"

▲ 서동진 뉴럴링크 공동창업자가 15일 강남구 한국고등교육재단 빌딩에서 열린 최종현학술원·한국고등교육재단·크래프톤 공동 주최 특별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 SK >

[비즈니스포스트] 최종현학술원은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의 공동창업자 서동진 박사가 15일 서울 강남구 한국교육재단 빌딩에서 특별강연을 진행했다고 16일 밝혔다.

서 박사는 “앞으로 3~4년 내 건강한 일반인도 뇌 인터페이스 이식을 고민할 전환점이 찾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사람의 뇌와 컴퓨터의 인터페이스를 연결하는 기술력이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뉴럴링크는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와 서 박사를 비롯한 8명의 신경과학자와 엔지니어가 만든 뇌신경과학 기업이다.

사람의 뇌에 칩을 심어 신호를 분석하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신경질환 환자의 치료부터 인간의 잠재력을 확장까지 목표로 삼고 있다.

서 박사에 따르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은 신경 손상 환자의 재활 지원, 인공지능(AI)과 결합한 학습과 기억 능력 강화, 뇌 전 영역을 연결하는 ‘전뇌 인터페이스’ 구축까지 나아갈 수 있다.

그는 “뉴럴링크의 최종 목표는 전체 뇌와 기계를 연결하는 전뇌 인터페이스”라며 “AI와 결합해 인간-기계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지적 지평을 열겠다”고 말했다.

강연에서 서 박사는 사고나 질환으로 운동능력을 잃은 환자들이 생각만으로 컴퓨터를 제어하는 뉴럴링크의 최신 임상 사례도 공개했다.

이들은 하루에 7시간40분 동안 장치를 착용했으며, 일부는 일주일에 100시간 이상 활용했다.

서 박사는 “단순한 재활을 넘어 환자의 사회 복귀와 자아실현을 가능케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뉴럴링크에 따르면 전 세계 12명의 임상시험 참가자들이 뇌에 칩을 이식했다. 누적 사용 시간은 1만5천 시간 이상에 달한다.

뉴럴링크는 10월부터 언어 장애 환자가 목소리를 되찾는 임상시험을 시작한다. 또 시각을 잃은 환자에게 전극 자극으로 시각을 복원하는 ‘블라인드사이트’ 프로젝트도 추진하고 있다. 김호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