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남부발전이 국내 액화천연가스(LNG) 벙커링 사업 활성화에 나선다.
남부발전은 15일 포스코인터내셔널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국내 LNG 벙커링 사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박영철 한국남부발전 부사장과 민창기 포스코인터내셔널 본부장 등 두 회사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LNG 벙커링은 선박 추진 연료로 사용하는 LNG를 선박에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협약에 따라 남부발전은 2027년부터 포스코인터내셔널에게서 국내 LNG 벙커링 서비스를 받게 된다.
저공해 에너지인 LNG 수요는 중장기적으로 전체 선박 연료 시장의 20%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국내 LNG 벙커링 사업은 아직 시작 단계에 머물러 있어 본격적 상업화와 인프라 확충이 시급한 과제로 꼽힌다.
남부발전은 발전공기업 가운데 최초로 LNG 연료 추진선 ‘남부 1호’와 ‘남부 2호’를 도입했다.
두 선박은 2023년 첫 출항한 뒤 국내 LNG 벙커링의 경쟁력 저하로 싱가포르 등 해외에서 연료를 공급받아왔다. 이 과정에서 불필요한 이동 항로 및 시간 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LNG 벙커링 사업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다.
남부발전은 이번 협약이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이 협력해 국내 LNG 벙커링 사업을 활성화하고 에너지 조달 과정의 효율성을 개선한 선도적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특히 에너지 전환 시대에 민간·공공이 힘을 합쳐 우리나라가 세계적 LNG 벙커링 허브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박영철 남부발전 부사장은 “이번 협약은 안정적 전력 생산을 넘어 연료 공급망까지 탄소중립을 확장하는 의미 있는 성과”라며 “앞으로도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민간과 공공의 경계를 넘는 협력을 더욱 확대하고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
남부발전은 15일 포스코인터내셔널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국내 LNG 벙커링 사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 박영철 한국남부발전 부사장(오른쪽)과 민창기 포스코인터내셔널 본부장(왼쪽)이 15일 ‘국내 LNG 벙커링 사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남부발전>
행사에는 박영철 한국남부발전 부사장과 민창기 포스코인터내셔널 본부장 등 두 회사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LNG 벙커링은 선박 추진 연료로 사용하는 LNG를 선박에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협약에 따라 남부발전은 2027년부터 포스코인터내셔널에게서 국내 LNG 벙커링 서비스를 받게 된다.
저공해 에너지인 LNG 수요는 중장기적으로 전체 선박 연료 시장의 20%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국내 LNG 벙커링 사업은 아직 시작 단계에 머물러 있어 본격적 상업화와 인프라 확충이 시급한 과제로 꼽힌다.
남부발전은 발전공기업 가운데 최초로 LNG 연료 추진선 ‘남부 1호’와 ‘남부 2호’를 도입했다.
두 선박은 2023년 첫 출항한 뒤 국내 LNG 벙커링의 경쟁력 저하로 싱가포르 등 해외에서 연료를 공급받아왔다. 이 과정에서 불필요한 이동 항로 및 시간 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LNG 벙커링 사업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다.
남부발전은 이번 협약이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이 협력해 국내 LNG 벙커링 사업을 활성화하고 에너지 조달 과정의 효율성을 개선한 선도적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특히 에너지 전환 시대에 민간·공공이 힘을 합쳐 우리나라가 세계적 LNG 벙커링 허브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박영철 남부발전 부사장은 “이번 협약은 안정적 전력 생산을 넘어 연료 공급망까지 탄소중립을 확장하는 의미 있는 성과”라며 “앞으로도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민간과 공공의 경계를 넘는 협력을 더욱 확대하고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