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남은 3번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모두 금리인하를 결정할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11일 “고용지표 둔화에 이어 물가마저 안정세를 보이면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금리동결을 해야 할 명분이 급속히 약화됐다”며 “금리인하를 두고 펼쳐졌던 힘겨루기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사실상 승기를 잡은 꼴이 됐다”고 말했다.
미국 노동부는 현지시각으로 10일 미국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7월보다 0.1%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0.3% 상승을 예상했던 시장전망치를 크게 밑돌았다.
올해 4월 뒤 처음으로 전월과 비교해 하락세를 보인 것이기도 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생산자물가지수 결과를 두고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은 없다”며 “당장 큰 폭으로 금리를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그동안 물가에 미치는 관세 영향을 지켜봐야한다며 금리동결을 이어왔다. 2024년 12월 0.25%포인트 인하 뒤로 올해 들어서는 4.25~4.50%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물가가 예상 밖의 하락을 보이면서 이 같은 명분이 흔들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관세발 인플레이션 압력이 현실화될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면서도 “아직은 관세가 제품가격에 제대로 전가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어 “생산자물가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로 전이되는 구조”라며 “이를 감안하면 생산자물가의 안정 회복은 단기적으로 관세발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하는 동시에 소비자물가 안정세도 기여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앞서 고용시장 둔화 위험이 커진 점도 금리인하를 결정할 이유가 될 수 있다.
미국 노동부가 3일 공개한 7월 미국 구인 건수는 718만1천 건으로 나타났다. 10개월 만 가장 적은 수준이다.
올해 남은 FOMC 회의는 현지시각으로 9월17일, 10월29일, 12월10일이다.
9월 FOMC에서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진 가운데 나머지 두 차례도 기준금리 인하에 힘이 실릴 수 있다. 변수는 소비자물가지수(CPI)다.
박 연구원은 “8월 생산자물가에 이어 소비자물가마저 시장전망치에 부합하는 결과가 나온다면 연말까지 연준이 남은 3차례 회의에서 모두 금리인하를 단행할 확률이 한층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11일 “고용지표 둔화에 이어 물가마저 안정세를 보이면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금리동결을 해야 할 명분이 급속히 약화됐다”며 “금리인하를 두고 펼쳐졌던 힘겨루기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사실상 승기를 잡은 꼴이 됐다”고 말했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커졌다. 사진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미국 연방준비제도>
미국 노동부는 현지시각으로 10일 미국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7월보다 0.1%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0.3% 상승을 예상했던 시장전망치를 크게 밑돌았다.
올해 4월 뒤 처음으로 전월과 비교해 하락세를 보인 것이기도 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생산자물가지수 결과를 두고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은 없다”며 “당장 큰 폭으로 금리를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그동안 물가에 미치는 관세 영향을 지켜봐야한다며 금리동결을 이어왔다. 2024년 12월 0.25%포인트 인하 뒤로 올해 들어서는 4.25~4.50%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물가가 예상 밖의 하락을 보이면서 이 같은 명분이 흔들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관세발 인플레이션 압력이 현실화될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면서도 “아직은 관세가 제품가격에 제대로 전가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어 “생산자물가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로 전이되는 구조”라며 “이를 감안하면 생산자물가의 안정 회복은 단기적으로 관세발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하는 동시에 소비자물가 안정세도 기여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앞서 고용시장 둔화 위험이 커진 점도 금리인하를 결정할 이유가 될 수 있다.
미국 노동부가 3일 공개한 7월 미국 구인 건수는 718만1천 건으로 나타났다. 10개월 만 가장 적은 수준이다.
올해 남은 FOMC 회의는 현지시각으로 9월17일, 10월29일, 12월10일이다.
9월 FOMC에서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진 가운데 나머지 두 차례도 기준금리 인하에 힘이 실릴 수 있다. 변수는 소비자물가지수(CPI)다.
박 연구원은 “8월 생산자물가에 이어 소비자물가마저 시장전망치에 부합하는 결과가 나온다면 연말까지 연준이 남은 3차례 회의에서 모두 금리인하를 단행할 확률이 한층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